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철수-
dc.date.accessioned2018-11-15T08:44:29Z-
dc.date.available2018-11-15T08:44:29Z-
dc.date.issued2002-09-26-
dc.identifier.otherWRD-00502-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746-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목재 수급동향 및전망중국의 목재수급동향을살펴보면, 먼저 공급의 경우 2000년도 총 원목생산량은 약 4,400만㎥으로서 1999년 대비 500만㎥이 감소하였다. 1993∼2000년동안의 전반적인 생산추이에서 나타나듯이 1993년에 5,900만㎥이 생산되었으나 지속적인 경제발전과 목재수요의 증가로 계속 증가, 1995년 약6,200만㎥을 생산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추세에 있다. 원목생산량의 감소는 1995년 이후부터 실시한 중국의 NFPP(NaturalForest Protection Program)와 불법벌채 근절을 통한 산림자원보전정책에 기인한다.반면에, 원목의 수입은1993년에 346만㎥에서 2000년에는 1993년 대비 3.9배나 증가한 1,361만㎥이었으며, 총공급량에서 원목수입량이 차지하는 비중은1993년에 5.6%에 불과하였으나 1999년에 17.3%, 2000년에 23.6%로 원목수입이 계속 크게 증가하고 있다. 중국내에서 생산되는목재는 주로 소경목이며 또한 생산수종도 한정되어 있어 국내에서 요구하는 양질 대경목, 합·단판 용재, 화장 용재, 가구용재에 대한 수요를 국내산목재로는 충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대경재위주의 목재수입은 불가피할 전망이다.제재목의 생산도원목생산과 마찬가지로 1995년 약 4,200만㎥을 고비로 계속 감소추세에 있으며 2000년 현재 634만㎥을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수입은1993년 141만㎥에서 2000년 현재 361㎥으로 증가추세에 있다.중국내 주요 목재생산지는흑룡강성이 가장 많은 976.03㎥, 다음으로 길림성이 499.47㎥, 복건성이 436.44㎥ 순이며, 동북·내몽고 3성은 1884.35㎥,남방집체구의 10성(절강, 안징, 복건, 강서, 호북, 호남, 광동, 광서, 해남, 귀주)은 2,299.94㎥으로 이들 2지역이 중국 전체목재생산량의 약 80%를 점하는 목재생산기지를 형성하고 있다.한편 원목의 수요부문을보면 해외로의 수출은 1993년 15만㎥이었으나 이후 계속 감소해 2000년 현재에는 3만㎥에 불과하며, 제재목의 경우 해외로의 수출은1993년 31만㎥에서 2000년 현재 41㎥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원목과 제재목 모두 공급량의 99%, 95%가 국내에서 소비되고있어 중국은 최대 목재생산국이자 소비국임을 알 수 있다.현재 중국 국가위원회에서는 올해 초 6개의 주요 임업계획을 승인하였는데 이들은 NFPP(Natural Forest Protection Program),북부지역에 있는 3개 shelter belts와 양자강 중류의 shelter belts, 그리고 하류의 shelter belts의 건설,야생동물보호와 자연보전, 속성수종의 식재로 상업림의 조성 등으로 주로 보전위주의 산림정첵을 전개할 예정이기 때문에 중국의 국내목재 생산은지속적으로 감소할 전망이다.반면 서부지역에서의 대형프로젝트의 실시, 부동산투자의 지속적인 증가, 올림픽용 스타디움이나 경기장 건설 등에 의해 계속적으로 활발한 목재시장의 전개가 기대되며 이에따라 목재수요는 2억 1,000∼2,000만㎥정도이나 국내 용재용 공급량은 1억 5,000만㎥정도로서 6,000만㎥∼7,000만㎥은 수입에의존하지 않을 수 없고 WTO에 가입함에 따라 관세율 인하뿐만 아니라 목재수입 장려책을 실시할 것으로 전망된다.2. 목질패널제품 생산과 소비동향 및전망2.1. 전반적인동향국민경제의 발전, 특히가구업과 건축 장식업의 급속한 발전 및 임업자원 수급 불균형의 심화에 따라 중국의 목질패널제품의 생산과 소비는 성장이 가속되는 추세를 나타내고있는데 생산량은 1981년에는 100만㎥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1990년에는 235.91만㎥, 1997년에는 1,648.48㎥로 급증하였으며,2000년 현재에는 2,001.66만㎥에 달하고 있다.소비량은 1981년에161.6만㎥에서 1990년대 이후 급속히 증가하여 1997년에는 1772.6만㎥, 2000년에는 2,240.59만㎥에 달하고 있어 중국의 합판소비량이 계속해서 생산량을 초과한 상태임을 알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소비량의 증가로 목질패널제품은 1987년 이후 매년 100∼250만㎥의 순수입을 보이고 있다.2.2. 합판합판은 중국 목질패널제품중 주도적인 제품으로 생산량은 목질패널제품 총생산량의 47% 가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소비량은 목질패널제품의 총소비량의 49%를 차지하고 있는데그 생산량과 소비량의 변화 동향을 살펴보면, 생산량과 소비량은 각각 1990년에 75.87만㎥과 214.02만㎥이던 것이 2000년에는992.5만㎥과 1,092.7만㎥으로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이 각각 109.8%와 37.3%를 기록하고 있다.합판은 기타목질패널제품들에 비해 많은 독특한 장점을 지니고 있는데 가구나 건축장식 등의 업종에 우량한 재료로 사용되며 그 소비는 주로 공급의 제약을 받고있는데 중국 합판의 공급상의 주요 당면 문제는 자원 결핍과 기업규모의 영세성을 들 수 있다. 자원 면에서는, 합판 생산에 필요한 양질의 직경이큰 목재자원이 고갈상태에 있으며 현재 대형합자기업이 합판을 생산할 때 사용하는 원목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세계 원목시장 측면에서보면, 각 국 정부는 자원과 환경보호 관점에서 아프리카 몇몇 국가를 제외한 세계 대다수 국가는 모두 원목 수출을 제한하고 있으며, 삼림자원의부단한 감소는 지구 상 보편적인 문제이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자원의 결핍이 미래 합판 생산과 소비의 근본적인 제약요인이 될것이다.합판산업조직구조면에서는, 1997년 기준으로 전국에 2,000여 개의 합판 생산기업이 있는데, 그 중 연간생산능력이 1만㎥이상인 기업이113개이고, 연간생산능력이 10만㎥이상인 기업이 7개 있으며, 기업의 평균규모는 3,300㎥/년인 것으로 나타남으로서(세계평균규모는1만㎥/년) 이러한 기업규모의 영세성은 중국 합판의 품질과 공급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소비에 대한 영향 요인의 하나가 될것이다.따라서 장래 중국의 합판생산과 소비의 성장은 다소 완만해져 합판이 목질패널제품 소비구조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차츰 감소하여 2005년에 약40%, 2015년에는약35%가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2.3. 파티클보드파티클보드는 중국목질패널제품 중에서 발전이 가장 빠르며 생산량은 1990년 42.80만㎥에서 1995년에는 435.1만㎥로 증가하였고 2000년에는 다소 감소한286.78만㎥을 보이고 있다. 1995년에는 가장 많은 생산량을 보였는데 생산량과 소비량은 각각 435.1만㎥와 453.2만㎥로 성장 속도는세 가지 합판 중에서 으뜸이라고 할 수 있으나 1995년 이후 파티클보드 생산량과 소비량은 대폭 감소하여 2000년에는 소비량이324.2만㎥으로 완만한 회복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파티클보드는 용도가광범위한 목질패널제품으로 광활한 발전 전망을 가지고 있으나 최근 몇 년간 중국의 파티클보드 생산은 불황을 겪고 있으며, 그 주요 원인은 품질저하에 따른 수요 감소를 들 수 있음. 이와 반대로 외국산 고품질의 파티클보드 수입량이 약 50% 급증함으로써 강렬한 소비수요를 반영하고있다.세계 목질패널제품의 구조변화 추세와 같이 향후 중국도 파티클보드 산업이 다시 발전하여 목질패널제품 전체에서 생산과 소비에서의 비중도 증대하여 결국에는 주도적인 위치를획득할 것으로 전망되며, 2005년과 2015년 중국의 파티클보드 소비량이 인조판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0%와 30% 내외가 될것으로 추정된다.2.4. 섬유판중국의 섬유판 공업은1950년대에 출발함으로서 목질패널제품을 선도하였으며 1990년 이전에 섬유판 생산량은 목질패널제품의 총생산에서 50% 이상을, 소비량은목질패널제품 소비의 40% 가량을 차지하였으나 대부분이 습법(濕法) 경질(硬質) 섬유판이었다. 생산 기술이나 제품 품질, 특히 폐수오염 문제에대한 원만한 해결책을 찾지 못해 습법경질섬유판은 차츰 중밀도섬유판(MDF)으로 대체되고 있는데 1990년대 이래로 습법경질섬유판 생산량은 줄곧100만∼170만㎥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중밀도섬유판은 양호한 물리학적 특성과 우량의 표면가공성능, 그리고 건법공예방식에 따른 폐수오염문제가 없기 때문에 1990년 이후 중국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였다.1997년 말 기준중국의 중밀도섬유판 기업은 110개이고 연간생산능력은 약 300만㎥이며, 2010년에는 연간생산능력이 450만㎥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데소비경향을 보면 중국의 중밀도 섬유 생산량 중의 80%는 가구 제조에 사용되며 건축, 교통 및 가정용 전기 등 업종에 사용되는 량은 적은 것으로나타났다. 중밀도섬유판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섬유판 생산과 소비가 장기 정체 국면에서 완만한 증가세로 전환되고 있는데 2000년 생산량은514.4만㎥에 달했으며 수입량도 계속 증가하여 2000년 소비량은 615.9만㎥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질패널제품의 생산과 소비구성에서섬유판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0년에 각각 25.7%와 27.5%을 점하고 있고 2005년에는 섬유판이 목질패널제품의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0% 내외로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2.5. 기타목질패널제품주요 기타목질패널제품으로는 세목공판과 무기합판, 예를 들면 목사판(木絲板), 시멘트섬유판, 석고섬유판 등으로 현재 생산량과 소비량이 전체목질패널제품의 약 10%를 유지하고 있으며 2005년과 2015년에도 그 소비량이 전체 목질패널제품 소비량의 10%내외를 유지할 것으로전망된다.(장철수cschang@krei.re.kr 02-3299-4194 산림정책연구실)(정정길cgchung@krei.re.kr 02-3299-4368 농정연구센터)주: 중국의 목재수급동향(표 1), 표 21990∼2000년 중국의 목질패널제품의 생산 및 소비량(표 2)는 원문 참조-
dc.publisherKREI-
dc.title중국의 목재류 수급동향과 전망-
dc.typeKREI 논문-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Files in This Item:
wrd-00502-547-.hwp (37.57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