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2002. 12)
- 저자
- 성명환
- 출판년도
- 2002-12-27
- 목차
- 1. 전체 곡물의 수급 동향과
전망
1.1. 전체곡물의 수급 동향과
전망
2002/03년도 세계 전체 곡물 생산량은 전년 대비 2.9% 감소한
18억 994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전년
전망치보다도 약 5,400만 톤 정도 감소한 수준이다. 주요 곡물인 쌀을 비롯하여 소맥과 옥수수 등 기타잡곡의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02/03년도
총공급량은 전년 기말재고량 5억 518만 톤과 생산량을 합친 23억 1,511만 톤으로, 전년보다 약 3.7% 정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2002/03년도
세계곡물 소비량은 전년보다 0.1% 감소한 18억 9,636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999/00년도에는 생산량과 소비량이 거의 균형을
이루었으나 2000/01년도부터 2001/02년도까지는 소비량이 생산량보다 더 큰 폭으로 늘어나 그 차이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2002/03년도에는 소비량과 생산량의 차이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곡물 교역량(수출량
기준)도 전년 대비 3.1% 줄어들어 2억 2,944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교역량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12.7%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곡물 소비량이 생산량을
8,642만 톤 정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02/03년도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17.1% 감소한 4억 1,876만 톤 정도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기말재고율도 2001/02년도 26.6%에서 22.1%로 4.5% 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1.2. 쌀의 수급 동향과
전망
2002/03년도 쌀
생산량은 2001/02년 보다 4.3% 줄어든 3억 8,029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의 쌀 생산량이 전년보다 0.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2/03년도 쌀
소비량은 전년 대비 0.8% 감소한 4억 777만 톤으로 전년보다 약 329만 톤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02/03년도 세계
전체 쌀 교역량은 전년 대비 0.5% 감소한 2,665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생산량에서 교역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7.0%로
전망된다. 특히 베트남의 수출량이 전년보다 37.1% 늘어난 425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쌀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20.8%가 줄어든 1억 489만 톤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을 제외한 주요 쌀 생산국의 재고량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02/03년도 기말재고율은 25.7%로 2001/02년도의 32.2%보다 약 6.5% 포인트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1.3. 소맥의 수급 동향과
전망
2002/03년도 세계
밀 생산량은 5억 6,872만 톤으로 전년보다 1.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을 제외한 미국, 호주, 캐나다, 중국 등 주요 소맥
생산국의 생산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02/03년도 세계
밀 소비량은 2001/02년 5억 8,532만 톤보다 약 1,249만 톤 증가한 5억 9,781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밀의 국제 교역량은
2001/02년 1억 881만 톤까지 늘어났으나, 2002/03년에는 1억 260만 톤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에 대한 교역량의
비율은 18.0%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2002/03년
기말재고량은 1억 6,949만 톤으로 전년보다 14.6%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재고량이 대폭
줄어들고, 기말재고율도 전년의 33.9%에서 28.4%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1.4. 옥수수의 수급 동향과
전망
2002/03년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5억 9,115만 톤으로 전년보다 1.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아르헨티나, 멕시코, 동남아시아 등 주요 생산국의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02/03년의
소비량은 전년과 변동이 없는 6억 2,098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소비량이 생산량을 2,983만 톤 정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2/03년 세계
옥수수 교역량은 전년보다 0.1% 감소한 7,392만 톤이고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5%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수출량 중 미국과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65.3%, 13.5%로 이들 두 국가가 약 78.8%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2/03년 옥수수
소비량이 생산량을 초과하기 때문에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23.0% 줄어든 9,983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년보다 2,983만 톤
정도 줄어든 수준이다. 주요 옥수수 생산국인 중국, 미국, EU의 기말재고량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이다. 2002/03년도 기말재고율도 전년보다 4.8% 포인트 줄어든 16.1%가 될 전망이다.
1.5. 대두의 수급 동향과
전망
2002/03년도 세계
대두 생산량은 1억 8,880만 톤으로 전년보다 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에 반하여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생산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대두 소비량은 전년보다
3.9% 늘어난 1억 9,119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소비량이 생산량을 239만 톤 정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2/03년 세계
대두 교역량은 전년보다 10.7% 증가한 6,088만 톤 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교역량의 비중은
32.2%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전 세계 수출량에서 미국이 40.2%, 브라질이 34.3%, 아르헨티나가 15.9%의 비중을 차지하여 이들
세 국가의 수출비중이 90.4%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02/03년 대두의
기말 재고량은 2,935만 톤으로 전망되어 전년의 3,219만 톤과 비교하여 8.8% 정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기말재고율은 전년보다 약
2.1% 포인트 낮은 15.4%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 국제 곡물 가격 동향 및
전망
2.1. 쌀
중립종(자포니카 계)
쌀의 국제 가격은 1998년 9월 이후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하여 1999년 7월에는 사상최고치인 톤당 556.66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후 계속
하락하여 2001년 9월에는 톤당 253.53 달러까지 하락하였다. 이는 1988년 UR 농산물협상이 시작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2001년 12월에는
톤당 314.16 달러까지 상승한 후 2002년 4월까지 이보다 약간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2002년 12월(12월 20일 현재)에는
전년보다 4.5%, 전년동월보다는 10.5% 낮은 톤당 281.09 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태국산 장립종 쌀 가격은
1999년 10월 톤당 221.80 달러까지 하락하였으나 이후 조금씩 상승하여 2000년 2월 253.25 달러까지 상승하였다. 이후 등락을
거듭한 후 2002년 12월(12월 20일 현재)에는 전년 대비 0.4%, 전년동월 대비 0.3% 하락한 톤당 177.47 달러
수준이다.
2002/03년도 쌀
소비량과 교역량이 감소하면서 생산량이 더욱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기말재고량이 큰 폭으로 줄어들 전망이어서 2002/03년도 국제
쌀 가격은 약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2.2. 소맥
밀의 국제 가격은
1996년 5월 톤당 218.11달러까지 폭등한 이후 1997/98년의 대풍작에 따라 1997년에는 153.1달러로 하락하였다. 가격 하락에
따라 1998/99년의 식부면적이 줄어들어 생산량이 감소하였으나 세계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가 크게 감소하여 1998/99년의 국제 밀 가격은
120달러로 더욱 하락하였다.
국제 밀 가격은
1999년 12월에 톤당 112.44 달러까지 떨어졌으나, 2000년 상반기에는 110∼118 달러 수준을 유지하였다. 2000년 8월에는 톤당
102.92 달러까지 하락하였으나 이후 상승하여 2002년 6월에는 129.60 달러까지 상승하였다. 2002년 12월(12월 20일 현재)에는
전월보다 6.6% 하락한 158.37 달러 수준이다. 이는 전년보다 24.8% 높으며 전년동월보다는 12.6% 더 높은 수준이다.
현재 밀의 국제 소비량의
증가하고 생산량과 교역량이 감소하여 기말재고량이 줄어들 전망이어서 2002/03년도 국제 소맥 가격은 약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2.3. 옥수수
1996년 5월 톤당
209달러까지 폭등했던 옥수수 국제 가격은 연속된 풍작으로 1999년 7월에는 85.42달러까지 폭락하였으나 이후 조금씩 회복하여 2000년
5월에는 톤당 102.67달러로 상승하였다.
이후 하락하기 시작하여
2000년 8월에는 톤당 80 달러로 하락함으로써 2000년 이후 최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2002년 12월(12월 20일 현재)에는 톤당
104.01 달러 수준으로 전년 대비 13.7%, 전년동월 대비 15.8% 상승하였고 전월 대비 1.3%
하락하였다.
기말재고량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어서 2002/03년도 국제 옥수수 가격은 이 수준에서 약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2.4. 대두
대두 국제 가격은
1997년 5월에 톤당 331 달러(미국 Gulf, 2등품, f.o.b.)까지 상승하였으나, 1997/98, 1998/99년의 연이은 풍작에
따라 1998년에 234.33 달러, 1999년 7월에는 168.98 달러까지 하락하였다. 이후 상승하기 시작하여 2000년 5월에는 톤당
211.72 달러까지 상승하였다.
이후 국제 가격이
하락하여 2000년 8월에는 톤당 178.87달러까지 하락하다가 12월에는 196.98 달러까지 상승하였다. 2002년 12월(12월 20일
현재)에는 221.20 달러로 전년 대비 23.1%, 전년동월 대비 27.7% 상승하였다.
2001/02년도에는
소비량과 교역량이 상승 변동에 비교하여 생산량의 증가폭은 낮다. 따라서 기말재고량이 약간 줄어 대두의 국제 가격은 약 상승될 것으로 전망된다.
(성명환
mhsung@krei.re.kr 02-3299-4366 농산업경제연구센터)
주: 표 1 세계 전체 곡물의 수급동향,
표 2 국제 쌀(정곡기준) 수급 동향, 표 3 국제 소맥 수급 동향, 표 4 국제 옥수수 수급 동향 및 전망,
표 5 국제 대두 수급 동향 및 전망, 표 6 국제 곡물가격 동향, 표 7 세계 쌀(정곡기준)
수급동향 및 전망, 표 8 세계 소맥 수급동향 및 전망,표 9 세계 옥수수 수급동향 및 전망, 표 10
세계 대두 수급동향 및 전망는 원문 참조
- 발행처
- KREI
- 발간물 유형
- KREI 논문
- 보고서 번호
- WRD-00543
- 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787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 공개 및 라이선스
-
- Files in This Ite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