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중국, 2003년도 수도병충해 발생예측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은철-
dc.date.accessioned2018-11-15T08:45:49Z-
dc.date.available2018-11-15T08:45:49Z-
dc.date.issued2003-06-04-
dc.identifier.otherWRD-00617-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881-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중국 농업기술보급센터는 2003년도 중국의 수도병충해발생 예측현황을 발표하였다. 그 개요는 다음과 같다 2003년 도열병 발생예상면적은 5,500만 무(367만ha)로 예상되며, 평년과 비슷하다. 그중 서남 벼재배지역의 발생정도는 4급(1급:약하게 발생, 2급:중간보다 약하게 발생, 3급:중간정도, 4급:약간 심하게 발생, 5급: 심하게 발생), 화남(華南), 동남연해와 동북지역은 3급 정도로 예상하며 부분적으로는 더욱 심하게 발생될 것이다. 문고병(紋枯病)은 약 1.7억 무(1,100만ha)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며, 도열병과 마찬가지로 평년과 비슷하다. 화남(華南)지역 발생정도는 4급, 기타 지역은 3급, 북방지역은 2002년보다 심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벼매미충(稻飛슬)은 서남, 화남(華南) 및 동남연해지역에서 발생정도가 4∼5급, 양자강의 중·하류 일모작지역에서 4급 정도로 발생될 것이며, 북방지역에서는 더욱 심하게 발생될 것이다. 그 중 조생종벼 생육기에 벼매미충 발생율이 2002년보다 현저하게 심할 것이며 발생면적은 약 2억 무(1,300만ha)로 예측된다. 벼잎말이나방(稻縱卷葉螟)은 발생면적이 약 1.4억 무(900만ha)로 전년에 비해 상승될 추세이다. 서남, 화남(華南)지역의 발생정도는 4급, 기타 벼재배지역은 3급 정도로 예측된다. 명충(螟충)의 발생정도는 2002년보다 더 심해질 것이다. 양자강의 중·하류지역 발생정도는 5급, 화남(華南), 강남의 발생정도는 3∼4급, 기타 벼재배지역은 3급 정도로 예측된다. 이화명충(二化螟蟲) 발생면적은 약 1.8억 무(1,200만ha), 삼화명충(三化螟蟲)은 약 8,000만 무(500만ha)로 예측된다. 자료:http://www.agri.gov.cn(中國農業部)에서 (박은철, parkec@hanmail.net, 010-6239-9952, 中國農業大學)-
dc.publisherKREI-
dc.title중국, 2003년도 수도병충해 발생예측-
dc.typeKREI 논문-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