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박은철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8:47:21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8:47:21Z | - |
dc.date.issued | 2004-06 | - |
dc.identifier.other | M45-44-16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8069 | - |
dc.description.abstract | 중국양곡홈페이지(中華糧網)에서는 2004년 6월 4일 금년도 중국의 교잡논벼 식부면적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는 조사결과가 공표되었다. 중국 벼연구소는 앞으로 교잡논벼를 더욱 확대하여 식량생산을 늘리기를 희망한다고 발표하였다. 필리핀에 있는 국제미작연구소(IRRI)는 60%이상의 중국인 매일 쌀을 식용으로 하고, 쌀은 중국 곡물 소비량의 40%를 점유한다고 말했다. IRRI는 “교잡논벼는 중국쌀의 감산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지난 5년간 중국의 신형 교잡논벼의 파종총면적은 747만ha에 달하고, 이러한 품종의 단위당 생산량은 전통 논벼보다 평균 10%가량 높다. 1990년대 이래 중국 정부는 몇 년 전까지 줄곳 쌀 파종면적 감소에 치중하였다. 1999년 이래 중국의 쌀 생산량은 계속 하락하는 추세였으며, 게다가 쌀의 단위당 생산량은 감소하여 가격을 높이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2004/05양곡년도 중국의 쌀 생산량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금년 6월 미국 농업부는 중국의 쌀 생산량이 1억 2,075만톤으로 전년에 비해 7%늘어날 것으로 예측했으며, 그 주된 원인은 식부면적과 단수 증가를 들고있다. 이것은 1997~98년도이후 중국 쌀 생산량이 처음으로 전년에 비해 늘어난 것이다. 원인은 쌀 가격 상승과 최근 정부노력의 결과이다. (박은철, 010-3077-8706, parkec@hanmail.net, 농산물품질관리원) | - |
dc.publisher | 농산물품질관리원 | - |
dc.title | 중국, 교잡논벼 파종면적 증가 | - |
dc.type | KREI 논문 | - |
dc.subject.keyword | 쌀 | - |
dc.subject.keyword | 생산량 | - |
dc.subject.keyword | 식량생산 | - |
중국, 교잡논벼 파종면적 증가.pdf
결과 데이터 / 86.48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