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대식-
dc.contributor.other마상진-
dc.date.accessioned2018-11-15T08:53:51Z-
dc.date.available2018-11-15T08:53:51Z-
dc.date.issued2007-07-
dc.identifier.otherRE30-3-01-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8703-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사회적 배제론에 근거하여 기존의 소득, 고용과 같은 경제적 관점뿐만 아니라 교육, 건강, 주거, 사회참여와 같은 사회적 관점 등을 포괄한 다차원적 관점에서 농촌사회 양극화 현상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기존통계자료와 농촌주민 대상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토대로 농촌사회 양극화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농촌사회는 현재 양극화되어 있다. 양극화 부문별 기존통계자료 분석 및 농촌주민 양극화 인식조사를 통해서, 그리고 계층의식, 계층이동 가능성, 양극화 전반에 대한 농촌주민 인식조사를 통해 농촌사회가 현재 양극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농촌사회의 양극화는 점차 심화되고 있다. 교육부문은 다소 예외였지만, 양극화 부문별 그리고 양극화 전반에 대한 최근 10여 년간의 시계열 자료를 통해 농촌사회의 양극화가 점차 심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농촌 권역별로도 양극화 정도의 차이가 있다. 농촌주민 대상 양극화 인식 조사결과 사회참여를 제외한 양극화 전반에서 도시인접 농촌이 다른 지역보다 양극화가 상대적으로 심각하였다. 도시인접 농촌은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이질성이 다른 권역에 비해서 더 높고, 도시로의 빈번한 왕래 등으로 인해서 양극화 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농촌사회 양극화는 주로 소득, 고용 등의 원인에서 비롯되지만 교육, 건강, 주거, 사회참여 등도 상호 영향을 주고 있다. 양극화 원인에 대한 인식조사결과 농촌주민들은 주로 돈벌이 기회 부족, 경제적 능력 차이, 일자리 부족 등을 들고 있었다. 하지만 실제로 양극화 부문별 농촌주민들이 인식 간에는 모두 고르게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피부에 와 닿는 농촌사회 양극화의 원인으로는 소득, 고용이 설명하는 바가 크지만, 교육, 건강, 주거, 사회참여와 같은 사회적 요인도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ipolarization of the Korean rural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exclus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carried out a statistical data reanalysis, a field survey, in-depth interviews, and expert reviews. The statistical data included the National Social Statistics Survey and the Farm Household Economy Survey.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among 500 rural residents, asking them about their awareness of the bipolarization of the rural society in terms of income, employment, education, health, residence, and social participation. Based on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e survey and interviews as well as the statistical data,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Korean rural community is bipolariz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exclusion; the bipolarization status has been intensified as time has passed; the rural community bipolariz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rural region, a relatively suburban region having a high bipolarization rather than a plain region or a mountainous region; the rural community bipolarization is mainly caused by income or employment, but also education, health, residence, and social particip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2. 양극화 관련 이론 3. 농촌사회의 양극화 분석 4. 결론-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사회적 배제론 관점에서의 농촌사회 양극화 분석-
dc.title.alternativeAnalysis of Bipolarization of Rural Society : Social Exclusion Perspective-
dc.typeKREI 논문-
dc.citation.endPage26-
dc.citation.startPage1-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Daeshi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Ma, Sangjin-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page. 1 - 26-
dc.subject.keyword농촌사회-
dc.subject.keyword사회적 배제-
dc.subject.keyword양극화-
dc.subject.keywordrural society-
dc.subject.keywordsocial exclusion-
dc.subject.keywordbipolarization-
Appears in Collections:
학술지 논문 > 농촌경제 / JRD
Files in This Item:
사회적 배제론 관점에서의 농촌사회 양극화 분석.pdf (623.47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