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충실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9:30:36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9:30:36Z | - |
dc.date.issued | 1991-12 | - |
dc.identifier.other | RE14-4-05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9036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문제제기 및 접근방법 2. 특화지역 구분의 기본자료 및 구분모형 3. 의성군 영농실태 4. 작목별 마을단위 지역특화계수 5. 특화계수(L.Q)에 의한 작촌조직 및 작촌조직별 특화지역 분류(의성군) 6. 결언 | - |
dc.publisher | KREI | - |
dc.title | 농산물 무역개방에 대응한 마을단위 특화작목의 개발(Ⅰ) | - |
dc.type | KREI 논문 | - |
농산물 무역개방에 대응한 마을단위 특화작목의 개발(Ⅰ).pdf
결과 데이터 / 725.81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