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의 친환경 농식품 현황과 미래연구 전망 (2)

저자
유찬희
출판년도
2009-05
초록
친환경 농업으로 재배한 모든 곡물의 평균 단수는 관행농업 또는 통합 영농에 이용한 경우보다 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농업이라는 측면에서 연구의 목적은 상호연계된 영농 활동의 결과물을 최적화시키는 것이다. 몇몇 곡종과 축종의 경우 친환경 농업 기술이 아직 충분히 개발되지 않았고, 현장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도 산적해 있다. 향후 친환경 농식품 인증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의 기능 외에도 투입재 측면과 환경적인 영향까지 계측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가축의 건강이 우유와 육류 품질에 심대한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가축 건강은 미래 연구 주제에서 최우선 순위를 지닌다. 공급/수요 측면의 다양한 요인들, 공급사슬관리의 효율성 증대, 친환경 농산물 시장의 성장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앞으로 친환경 농식품 가격은 더욱 떨어질 것이다. 장기적인 과제로써 식량의 안정적 공급, 생태계 보전의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 미래 전망 연구와 다양한 예측 시나리오를 고려할 때, 친환경 농식품 연구는 과학적·경제적 실현 가능성만이 아닌 윤리적·문화적 가치까지도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지역 경제 강화는 지역 내 식품체인과 연계됨으로써 세계화된 식품체인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보완하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도시 지역에서의 영농 활동은 학습의 장으로서 중요성이 커질 것이다. 예를 들어 농가와 목장은 ‘야외 교실’로, 농업인은 지속가능성·농촌다움·건강한 삶의 전문가로 인식되며, 다양한 동식물을 활용한 치료법의 인기도 높아질 것이다. 친환경 농업의 불충분한 생산성과 단수의 안정성 부족문제는 적절한 ‘생태 기능적 집약화’를 통해 극복할 수 있다. 관행적 농업에서의 집약화는 보다 많은 투입재를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생태 기능적 집약화는 무엇보다 지식 기반형으로의 전환을 통해, 단위면적당 조직화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영양학적 불균형은 서구 사회뿐만 아니라 일부 신흥 경제국에서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아동 비만은 21세기 보건 부문의 최대 과제 중 하나이다. 아동비만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학교 급식에서 과일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편익과 실현 가능성, 행정 비용을 고려한 법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비가공/저가공 식품 체인 관점에서 볼 때 ‘친환경’은 ‘체계적’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 용어는 또한 새로운 생산 방식과 기술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몇 가지 품질 지표를 포함한다.
목차
목 차1. 친환경 농업의 약점, 기술격차 및 연구 수요2. 2025년 비전: 전략적 연구의 우선순위 설정 및 과제 도출3. 농촌 경제 활성화를 위한 핵심 주제4. 식량공급 안정과 생태계 보호5. 고품질 식품
서지인용
page. 13 - 26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발간물 유형
KREI 논문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9206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Files in This Item:
EU의 친환경 농식품 현황과 미래연구 전망 (2).pdf (545.6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