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남양호 | - |
dc.contributor.other | 안성식 | - |
dc.contributor.other | 이훈영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9:34:09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9:34:09Z | - |
dc.date.issued | 2010-04 | - |
dc.identifier.other | RE33-1-03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9329 | - |
dc.description.abstract | 최근 10여년 동안 UR협상, WTO체제 출범, 그리고 개별 국가간 FTA 체결 등으로 인하여 농산물 시장의 국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다양한 실증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농업인 교육에 대한 문제점이 끊임없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농산물 소비구조 변화, 농산물시장 개방 확대 등 국내외적인 변화로 인해, 새로운 농업의 미래를 설계하고, 이를 추진해 나가기 위해서 전문성을 갖춘 농업 인력 확보가 중요시 되고 있다. 이처럼 오늘날 시장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고 이러한 환경변화에 따라 농업환경도 시대의 변화에 적응 또는 대응할 수 있는 경영능력을 갖춘 농업 인력을 확보하여 적절한 마케팅전략을 수립,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농업인의 교육태도, 농업교육 여건, 교육프로그램의 우수성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교육성취도와 농업 경영활동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전문성을 갖춘 농업인력 확보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전국 농업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인 교육태도가 좋을수록 농업교육 성취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1을 검증해 본 결과 농업인 교육태도가 좋아질수록 농업교육 성취도가 그다지 높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지지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인이 갖게 되는 교육에 대한 큰 관심과 기대에 비해 교육을 통해 얻게 되는 만족도와 성취도가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 연구결과이다. 농업인 교육태도에 기여하는 바가 큰 항목은 같은 수강생을 통해서도 적극적인 인맥을 쌓음, 문제해결을 위해 교육을 통해 쌓은 인맥을 활용함, 강사와 인맥을 쌓기 위해 적극 노력함, 교육받은 내용에 대해서 현장적용을 위해 노력함, 자발적으로 좋은 교육을 받기 위해 찾아다님, 교육이 경영성과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함, 많은 교육 받기를 원함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인의 교육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농업교육뿐만 아니라 농업인이나 농업 전문가들과 함께 정보를 교환하고 충분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즉, 농업인이 요구하는 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교육목적을 설정하고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선정과 교육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농업교육 여건과 농업교육 성취도의 관계는 교육여건이 좋을수록 농업교육 성취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는 지지되었으며,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농업교육 여건에 기여하는 바가 큰 항목은 교육목표가 분명함, 교육을 통해 인맥이 형성됨, 강사의 전문성이 높음, 각 분야별 교육생이 다양함, 교육시설이 우수함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업교육 프로그램의 우수성과 농업교육 성취도와의 관계는 농업교육 프로그램이 좋을수록 농업교육 성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3은 지지되었으며, 대부분의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 농업교육 프로그램에 기여하는 바가 큰 항목은 지자체가 위탁한 대학교육 교육프로그램의 우수성, 지자체가 위탁한 민간교육은 교육프로그램의 우수성, 농림부, 농업기술센터, 농어촌공사 등 공공기관은 교육프로그램의 우수성, 대학(최고농업 경영자과정 등)교육 교육프로그램의 우수성, 민간교육기관(한국벤처농업대학 등) 교육프로그램의 우수성, 교육프로그램의 우수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업교육 프로그램의 우수성이 농업교육 여건보다 농업교육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관계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농업교육 프로그램의 우수성에 기여하는 바가 큰 항목들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농업인 교육태도와 농업교육 여건에 비해 교육 프로그램의 우수성은 농업교육 성취도에 매우 높은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어, 농업교육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농업인을 위한 양질의 다양한 교육으로 농업교육 프로그램의 우수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농업인들을 위해 경영과 관련된 학습 프로그램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농업인들의 자심감이나 변화의식의 부족으로 인한 학습참여 및 학습실천 장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나아가 보다 과학적이고 안정적인 경영체 관리 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영관련 학습 경험은 농업인으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게 하고, 학습 결과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실천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넷째, 농업교육 성취도와 농업 경영활동의 성과와의 관계는 농업교육 성취도가 높을수록 농업 경영활동의 성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4는 지지되었으며,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 농업 경영활동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농업인 교육의 중요성 및 농업교육 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농업교육 성취도에 기여하는 바가 큰 항목은 지자체가 위탁한 대학교육에서 교육목표를 달성함, 지자체가 위탁한 민간교육에서 교육목표를 달성함, 농림수산식품부, 농업기술센터, 농어촌공사 등 공공기관교육에서 교육목표를 달성함, 대학(최고 농업 경영자과정 등)교육에서 교육목표를 달성함, 교육을 통해 교육에 참여할 당시의 목표를 달성함, 민간교육(한국벤처농업대학 등)에서 교육목표를 달성함 순으로 나타났다. 농업 경영활동의 성과에 기여하는 바가 큰 항목은 지자체가 위탁한 민간교육은 경영성과에 도움이 된다는 것, 지자체가 위탁한 대학교육은 경영성과에 도움이 된다는 것, 농림수산식품부 농업기술센터, 농어촌공사 등 공공기관교육은 경영성과에 도움이 된다는 것, 대학(최고농업 경영자과정 등)교육은 경영성과에 도움이 된다는 것, 교육이 경영성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 민간교육(한국벤처농업대학 등)은 경영성과에 도움이 된다는 것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농업인 교육태도와 농업 경영활동의 성과와의 관계는 가설 5인 농업인 교육태도가 좋을수록 농업 경영활동의 성과가 높을 것이다를 검증해 본 결과 농업인 교육태도가 성실할수록 농업 경영활동의 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농업교육 프로그램의 우수성이 높아질수록 농업 경영활동의 성과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6을 검증해 본 결과 농업교육 프로그램의 우수성이 높아질수록 농업 경영활동의 성과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 농업 경영활동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살펴보면 농업교육 성취도가 가장 크고, 농업교육 프로그램의 우수성, 농업인 교육태도 순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농업교육 성취도와 관련된 항목들에 높은 관심을 기울여야 농업 경영활동의 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과 같은 평생직업 시대에는 조직 구성원들이 무엇보다도 자신의 능력을 높이기 위한 정보 및 네트워크 구축에 관심을 가지고 자기개발에 몰입하려는 성향을 보인다. 즉, 단기적인 성과 보다는 교육을 통한 스스로가 자신의 능력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개발하여 보다 높은 경영성과를 내기 위한 중·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Korean agriculture currently faces difficulties due to many national and international changes, such as the expansion of the domestic agricultural market and changes in consumer patterns. To overcome upcoming difficulties and open up the future of new agriculture, there is a need to assess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farmers and its impact on their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examines the attitude of agricultural population, educational conditions, and the quality of educational programs, and analyze their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armers' interest and expectations for education did not have a large influence on their achievements in education. Compared to the amount of interest and expectations, final satisfaction was not as large as anticipated. However, the excellence of learning condi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did affect final achievements in education, and the excellence of educational programs had a bigger influence than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condition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achievement level of agricultural education, a better quality education with a broader range of subjects and clear objectives needs to be offered. The higher the interest and expectations of the farming population toward learning were, and the higher the educational achievements and the quality of educational programs were, the better the performance of agricultural businesses. In terms of the amount of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the level of educational achievement had the most impact followed by excellence of educational programs and learning attitude. Therefore, in order to inspire the motivation for learning and communicate the importance of such education to farming communities,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a variety of methods. In this day and age where people have life-long jobs, members of organizations tend to focus on building information networks to better their skills and devote themselves to self-development. In other words, instead of seeking short-term benefits, it is necessary to make mid- and long-term plans to yield better business results through education and continuous self-management and development.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실증연구 4. 실증분석결과 5. 요약 및 결론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농업인 특성별 교육성취도와 농업 경영활동 성과분석 | - |
dc.type | KREI 논문 | - |
dc.subject.keyword | 교육태도(learning attitude) | - |
dc.subject.keyword | 교육여건(learning condition) | - |
dc.subject.keyword | 교육프로그램(educational program) | - |
dc.subject.keyword | 교육성취도(educational performance) | - |
dc.subject.keyword | learning attitude | - |
dc.subject.keyword | learning condition | - |
dc.subject.keyword | educational program | - |
dc.subject.keyword | educational performanc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