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승준호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9:38:08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9:38:08Z | - |
dc.date.issued | 2011-06 | - |
dc.identifier.other | M45-130-01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9645 | - |
dc.description.abstract | 2010년 러시아의 심각한 가뭄으로 인한 밀 수출 금지 조치와 주요 곡물 생산국의 기상악화로 세계 곡물 공급 상황이 악화되었다. 2010년 세계 곡물 생산량은 당초 역사상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불과 몇 개월 동안에 걸쳐 초기 전망치보다 약 3,100만 톤이 하향 조정되어야 했다. 2010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009년 대비 약 1.4% 감소하였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시장동향 2. 주요 내용 3. 시장동향 및 전망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OECD-FAO 2011-2020 세계 곡물 수급 전망 | - |
dc.type | KREI 논문 | - |
OECD-FAO 2011-2020 세계 곡물 수급 전망.pdf
결과 데이터 / 455.39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