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KREI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9:44:48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9:44:48Z | - |
dc.date.issued | 2012-11-16 | - |
dc.identifier.other | SD117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0125 | - |
dc.description.abstract | ’삶의 질 및 지역발전 지수’를 통해 시·군별 삶의 질 현황을 점검하고 분야별 정책과제와 개선방안을 논의한다. 또한 2015년까지 5천 개의 색깔있는 마을을 만들기 위해 현재까지의 성과를 조명하고, ‘내실 있는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 색깔있는 마을 : 주민의 자발적 참여하에 유·무형의 마을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구체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경제적·사회적으로 활력이 넘치는 마을로 발전한 마을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삶의 질 향상 토론회 '삶의 질 및 지역발전지수'를 통해서 본 농어촌 현황과 정책과제 사회복지 보건의료 교육 색깔마을 활성화 방안 토론회 '13년 색깔있는 마을 내실화 방안 단계적 마을발전을 위한 도의 역할 주민주도 마을발전을 위한 시·군 역할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주민의 역할 | - |
dc.publisher | 농림수산식품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대한민국 농촌활성화 컨퍼런스 2012 | - |
dc.type | KREI 세미나자료 | - |
대한민국 농촌활성화 컨퍼런스 2012.pdf
결과 데이터 / 23.4 M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