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의 삶의 질 실태와 정주 만족도 :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 업무위탁
-
영문 제목
-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s
-
저자
- 송미령; 채종현
-
출판년도
- 2012-12-30
-
초록
- 제2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기본계획(2010-2014)에 따라 올해는 9개 부처, 1개 위원회, 3개 청 등의 중앙행정기관과 13개 시·도가 주체가 되어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121개 사업을 추진하였다. 우리 연구원에서는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으로서 당초 계획한 데로 사업이 잘 집행되어 성과를 내고 있는지를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총괄, 심층평가, 서비스기준, 영향평가 등 4개 분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농어촌의 삶의 질 실태가 어떠한지를 관련 통계와 조사 등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그밖에 시·군 단위로 서비스기준 이행실태를 점검했으며, 저탄소 녹색성장과 지역발전 역량강화 정책을 중심으로 심층평가를, 평생학습정책과 응급의료정책을 중심으로 농어촌 영향에 대한 전문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보고서는 총괄 보고서로서 삶의 질 향상 정책 전반의 전개에 관한 사항 이외에 통계자료를 통해서 살펴본 농어촌의 삶의 질 실태, ‘삶의 질 및 지역발전 지수’로 살펴본 농어촌의 삶의 질 실태, 마을패널조사로 살펴본 농어촌의 삶의 실태 등 다각도로 농어촌의 삶의 질 실태를 파악하는데 주력하였다. 관련 통계를 활용하여 시·군 단위로 ‘삶의 질 및 지역발전 지수’를 개발한 점과 전문지원기관 홈페이지를 개발한 점을 특기할 만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infrastructure for quality of life enhancement policies through investigation and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rural residents' quality of life.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overview is given to describe the policy development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recent changes in the circumstances. Second,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is examined. Finally, policy directions and challeng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are drawn up based on investigation and analysis results.
An analysis of statistics on situations of rural areas showed that the living environment is poor in rural areas than in cities. The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s was examined comprehensively using an index developed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regional and sectoral gaps i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level of local development. In rural areas, differences exist between sectors, and this is why a differentiating approach is required for different areas and policy sectors with respect to the policy on quality of life. In order to carry out quality-of-life enhancement policies mor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evelop better quality-of-life indexe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residents of 10 rural villages. The survey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residents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level of vill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village and individuals. Changes in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need to be continuously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design effective quality of life policie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comprehensive plan that considers all the policy sectors of the current policy is needed to improve rural residents' quality of life and to foster local development.
Researchers: Song, Mi-Ryung and Chae, Jong-Hyun
Research period: 2012. 5. - 2012. 12.
E-mail address: mrsong@krei.re.kr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삶의 질 향상 정책의 전개와 여건 변화
제3장 농어촌의 정주 여건 현황과 변화 전망
제4장 ‘삶의 질 및 지역발전 지수’로 본 농어촌의 실태
제5장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 만족도와 수요
제6장 삶의 질 향상 정책의 발전 방향과 과제
-
발행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과제명
-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 업무위탁
-
발간물 유형
- KREI 보고서
-
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0287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수탁보고서 (C)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