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박성재 | - |
dc.contributor.other | 박준기 | - |
dc.contributor.other | 정원호 | - |
dc.contributor.other | 임지은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9:46:55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9:46:55Z | - |
dc.date.issued | 2012-11-30 | - |
dc.identifier.other | D339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0291 | - |
dc.description.abstract | 농업 생산자들이 시장개방에 대응하여 스스로의 이익보호를 위해 자조금을 조성·운영해온 지 20년이 지났다. 1992년 양돈자조금과 산란계자조금으로 출발한 자조금은 이제 34개 품목으로 확대되고 사업내용도 다양화되는 등 양적·질적인 면에서 급속한 성장을 보였다. 하지만 우리 농업 자조금은 선진국 자조금에 비해 제도 및 운영에서 보완하고 발전시켜야 할 과제가 적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자조금 정책방향을 재점검하고 제도개선 방안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위해 “농업부문 자조금 정책방향과 제도개선 방안”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자조금 제도의 목적에 비추어 본 법적·제도적 기반 및 내용 검토, 자조금단체의 관리·운영 실태, 선진국 자조금 제도의 분석을 통한 제도개선 방안 도출 등 자조금 제도 전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 자료집에는 세 개의 주제발표문과 함께 토론회 현장의 토론 내용을 수록하였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주제발표 1] 축산자조금 사업의 방향과 과제 [주제발표 2] 농산물자조금 정책방향 [주제발표 3] 농업부문 자조금제도 개선 방안 [지정토론 및 종합토론 내용]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농업부문 자조금 정책방향과 제도개선 방안 : 토론회 자료집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농업부문 자조금 정책방향과 제도개선 방안 : 토론회 자료집.pdf
결과 데이터 / 15.49 M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