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명환 | - |
dc.contributor.other | 한석호 | - |
dc.contributor.other | 조재성 | - |
dc.contributor.other | 김태우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9:47:05Z | - |
dc.date.available | 2018-11-21T01:21:12Z | - |
dc.date.issued | 2012-12-30 | - |
dc.identifier.other | M116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0305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원에서는 2007년부터 2008년까지 품목확대, 모형운용체제 전환을 포함한 대폭적인 개편작업을 통해 새로운 농업부문 전망모형인 KREI-KASMO를 구축하였으며, 이후 모형의 현실 설명력과 전망능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보완․개선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KREI-KASMO와 같은 계량 경제학적 모형의 예측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자료수집 - 추정 - 전망 및 정책 시뮬레이션 - 결과평가 - 모형보완'의 일련의 작업이 주기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원은 장기전망의 일환으로 매년 초 「농업전망」 대회를 개최하여 농산물 품목별 전망치 및 농업과 관련한 경제지표 등의 다양한 분야의 전망결과를 발표해 왔다. 최근 한국 경제의 빠른 회복 및 급속한 사회여건 변화에 따른 농축산물 수입 증가와 냉해, 동해 및 이상기온현상 등의 일기 변동에 따른 농작물 생산량 변동, 한국은행의 거시경제 지표 변화 등으로 당초 발표하였던 전망치를 보완할 필요가 제기되어 2010년 8월에 KREI 농업경제전망(2010년 하반기)을 처음으로 발간하고, 이후 2011년과 2012년 상반기, 하반기 호를 발간하였으며 앞으로도 계속 발간할 예정이다. 아울러 KASMO 모형에 대한 세부 연구결과를 정기적인 연구보고서 발간을 통해 공표함으로써 그 결과에 대한 활용도를 증진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 론 제2장 KASMO 운용 현황 제3장 국내 농업 및 농가경제 전망 제4장 향후 보완사항 및 과제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농업부문 전망모형 KREI-KASMO 2012 운용·개발 연구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embargo.terms | 9999-12-31 | - |
dc.embargo.liftdate | 9999-12-31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