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실태와 시장 전망

저자
김창길정학균문동현
출판년도
2013-04-19
초록
정부가 친환경농업을 미래농업의 대안으로 적극 육성함에 따라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9년에 201,688ha로 최고치를 나타냈으나, 2010년 이후 저농약인증 면적의 감소로 연평균 5.4%의 감소세로 전환되었음. 전체적인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감소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유기와 무농약 농산물 인증면적은 2010년 이후 각각 연평균 18.0%, 2.5% 증가세로 나타남.

2012년 현재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시장규모는 저농약인증 농산물의 감소로 인해 전년보다 5.5% 감소한 3조 809억 원으로 전망됨. 친환경농산물시장은 전체 농산물시장의 약 9% 정도로 점차 틈새시장에서 주류시장으로 진입하고 있음.

세계적으로도 농산물의 안전성과 건강을 추구하는 웰빙 트랜드의 확산으로 유기농산물 시장규모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2000년 이후 매년 20% 내외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2010년 기준 세계 유기농산물은 약 160개국, 3,700만 ha의 유기농경지에서 생산되고 있고, 유기식품 및 음료 시장의 규모도 약 591억 달러(67조 원)로 추정됨.

2013년의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평년 작황을 가정할 경우 2012년 대비 1.8% 정도 증가한 3조 1,373억 원으로 전망됨. 저농약 재배면적의 급격한 감소에도 불구하고 친환경농업 직불금 인상의 효과로 유기와 무농약 재배면적이 증가하여 전체적인 친환경재배면적이 전년보다 증가했기 때문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유기와 무농약 농산물의 꾸준한 증가로 2014년에 3조 4,434억 원, 2015년에는 3조 8,732억 원으로 증가하며, 2020년에는 전체 농산물 시장거래액의 약 20%인 7조 4,749억 원 수준이 될 전망임. 과일류의 경우 유기와 무농약은 완만하게 증가하는 데 반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저농약 인증이 줄어 전체 친환경 과일류는 지속적인 감소가 예상되며, 특히 2016년 이후 공급물량이 2012년에 비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저농약 인증제도 폐지에 대응하여 친환경 과일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직불제의 개선, 생산자 보험, 기술개발 및 보급 등 저농약 인증농가의 유기와 무농약으로의 인증 전환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함. 유기와 무농약 등의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유기·무농약 농산물의 수요창출(학교급식 확대, 가공식품 생산 등)과 유통활성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함.
목차
1.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현황
2.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시장 규모와 전망
3. 세계 유기농업의 현황 및 시장 규모
4. 시사점과 과제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발간물 유형
KREI 이슈리포트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0337
Appears in Collections:
이슈페이퍼 > 농정포커스 (J)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Files in This Item:
국내외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실태와 시장 전망.pdf (666.86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