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준기-
dc.date.accessioned2018-11-15T09:48:24Z-
dc.date.available2018-11-15T09:48:24Z-
dc.date.issued2013-06-18-
dc.identifier.otherPRN060-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0402-
dc.description.abstract정부는 지난 6월 4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창조경제 실현계획-창조경제 생태계 조성방안’을 발표하였음. 여기에 창조와 혁신을 통한 새로운 일자리와 시장 창출, 세계와 함께 하는 창조경제 글로벌 리더십 강화, 창의성이 존중되고 마음껏 발현되는 사회 구현 등의 3대 목표가 설정되었음.국내·외적으로 경기 침체가 지속되어 농업부가가치와 농가소득은 정체를 나타내고 도·농간 소득격차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박근혜 정부가 제시한 창조경제 전략에 대한 기대가 큼. 창조경제의 기반 조성을 통한 성장 전략은 농업·농촌이 보유하고 있는 혁신적 아이디어에, 가치 있고 다양한 부존자원과 과학기술의 융·복합화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부가가치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임. 농업의 6차 산업화는 농산물의 생산을 중심으로 가공, 유통 및 서비스업을 연계함으로써 1·2·3차 산업 간의 융·복합화를 통한 부가가치 제고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중요한 전략 중 하나임. 농업인이 생산한 원료 농산물을 가공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안정적인 유통기반을 구축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생산자와 소비자의 잉여를 높이며, 산업 간 연계와 부가가치 창출 과정에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기대됨.최근 들어 농업과 ICT가 다양하게 융합됨으로써 농업은 고부가가가치 융합산업으로 변모하고 있음. 농산물 생산·유통·소비의 모든 과정에서 ICT와 창조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생산 정밀화·유통 효율화·경영 합리화의 모습으로 스마트농업 구현이 가능함. 농업과 생명공학의 융합으로 농업이 ‘생명산업’이라는 새로운 산업으로 탈바꿈하며, 소비자의 건강과 복지 향상에 기여하는 인간가치 중심의 농업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임.농업·농촌의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서는 창조적인 인재의 적극적 육성, R&D 투융자 방식의 개선, 융합·협력·연대가 가능한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기반 조성(규제개혁, 제도정비, 벤처자본투자 활성화, 경영회생지원제도 확충 등) 등이 종합적으로 추진되어야 함.-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농업·농촌경제의 현황과 새로운 전략의 필요성2. 창조경제 기반의 성장 전략 구상 3. 농업·농촌의 창조경제 응용 사례와 발전 가능성 4. 농업·농촌의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제언-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창조경제, 농업·농촌의 새로운 활력 증진 전략-
dc.typeKREI 이슈리포트-
Appears in Collections:
이슈페이퍼 > 농정포커스 (J)
Files in This Item:
창조경제, 농업·농촌의 새로운 활력 증진 전략.pdf (370.1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