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시현-
dc.date.accessioned2018-11-15T09:48:43Z-
dc.date.available2018-11-15T09:48:43Z-
dc.date.issued2013-08-02-
dc.identifier.otherPRN066-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0430-
dc.description.abstract최근에 농촌관광이 활성화되면서 새 정부의 농촌 6차산업화 정책과 연계하려는 시도가 현장에서도 나타나고 있음. 농촌 6차산업화는 농촌에 존재하는 다양한 자원을 농촌 주민이 활용하여 소득화하기 위한 전략이며, 특히 농촌관광은 농촌 6차산업화를 실현하는 주요 수단이 될 수 있음. 유럽 선진국의 경우에는 대체로 농촌관광이 국내 관광의 2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데 비해, 우리나라의 농촌관광은 국내 관광 시장에서 3.2%를 차지하는 정도임. 하지만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다양한 농촌관광 상품의 개발에 따라 농촌관광의 성장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판단됨. 우리나라의 농촌관광은 선진국인 유럽과 달리 정부 지원에 의한 마을공동체 경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 정부의 지원이 양적·질적인 면에서 농촌관광의 발전에 기여한 것은 사실이지만, 농촌관광 마을이 마을공동체를 기초로 하는 느슨한 조직체로 경영되는 사례가 많으며,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설치된 농촌관광 시설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사례도 적지 않음. 또한 예약, 결제, 보험 등과 같은 사업적 기반이 취약하며, 조직적으로 산업 활동을 이끌어가는 자율 조직의 활동도 미흡한 편임. 농촌관광이 농촌 6차산업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관광산업을 쉽게 창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창업한 경영체가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함. 이를 위해서는 농촌관광 산업화를 주도할 경영인(기업가) 육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이며, 여기에는 마을공동체를 경영 단위로 하는 기존 농촌관광 마을 정책의 변화가 요구됨. 다시 말하면 마을공동체 활성화 수단으로서의 마을 단위 농촌관광 정책의 기본 취지를 살려나가되, 개별 경영체의 관점에서 농촌관광 정책수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농촌관광의 활성화 및 발전을 위해서는 개별 경영체의 농촌관광 사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정책 개발과 제도 정비가 필요함. 예를 들어 농촌 민박가구 중에서 농촌관광에 적절한 민박(가칭 농촌체험민박)을 재분류하여 영세한 민박에 대한 재정 지원을 강화하며, 개별경영체가 이용할 수 있는 보험과 온라인 예약 및 결제 시스템 등의 농촌관광 산업화 제도를 정비하고, 농촌관광 경영인이 회원으로 참여하는 농촌관광 경영자단체를 육성하는 것 등임.-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농촌 6차산업화와 농촌관광의 의의 2. 농촌관광의 현황과 특징 3. 농촌관광의 발전 방향과 과제-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농촌 6차산업화를 위한 농촌관광의 발전 방향-
dc.typeKREI 이슈리포트-
Appears in Collections:
이슈페이퍼 > 농정포커스 (J)
Files in This Item:
농촌 6차산업화를 위한 농촌관광의 발전 방향.pdf (436.96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