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윤미-
dc.date.accessioned2018-11-15T09:49:19Z-
dc.date.available2018-11-15T09:49:19Z-
dc.date.issued2013-09-10-
dc.identifier.otherM45-157-03-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0477-
dc.description.abstractGM작물은 원래의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조작한 작물을, GM식품은 GMO를 원료로 만든 식품을 가리킨다. 제초제저항성이 59%로 가장 많으며, 복합형질 GM작물이 26%, 해충저항성 15% 비중으로 재배되고 있다. GM작물은 1996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제초제에 강한 작물을 개발하면서 상업화되기 시작하여 현재 30여 국가에서 생산하고 있다. 2012년 국제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ISAAA)자료에 따르면 GMO 재배면적은 처음 재배를 시작한 1996년 대비 100배 이상 증가하여 전 세계 재배면적이 2012년 말 기준 총 1억 7,030만 ha에 이른다. 본 원고에서는 GM작물의 생산량 및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GM작물을 둘러싼 안전성 논란과 이슈를 ‘스타링크 옥수수 사건’과 ‘트립토판을 생산하는 박테리아 독성 사건’을 통해 살펴보았다. 더불어 GMO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국가별 GMO 표시관련 제도를 살펴보고, 현 GMO 표시 강화 경향에 대한 득과 실을 따져보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GM작물의 증가와 국내 수입 1.1. 늘어나고 있는 GM작물 생산 1.2. 주요 국가의 GM작물 재배현황 1.3. GMO 국내 수입 2. GM작물의 안전성 논란과 이슈 2.1 GM작물의 안전성 논란 2.2. 유전공학기술에 의해 트립토판을 생산하는 박테리아의 독성 사건 2.3. 스타링크 옥수수 사건 2.4. 최근 제기된 GMO 관련 이슈 3. GMO에 대한 소비자인식 3.1. GMO에 대한 인지수준과 용어인지도 3.2. GMO에 대한 규제 요구 4. GMO 표시제도 현황과 의미 4.1. 현행 GMO표시제도 4.2. GMO 표시 강화 논란 4.3. GMO 표시 강화의 득과 실-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GMO 표시제 주요 쟁점-
dc.typeKREI 논문-
dc.subject.keywordM45-F-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Files in This Item:
GMO 표시제 주요 쟁점.pdf (401.98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