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EI 농업경제전망 (2013 하반기)

영문 제목
KREI Outlook of the Agricultural Economy
저자
김명환한석호조재성김태우이창수
출판년도
2013-12-30
초록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1998년 이후 매년 초 「농업전망」 대회를 개최하여 농축산물 품목별 수급 및 농업 관련 거시경제지표 등의 중장기 전망결과를 발표해 왔다. 2008년 글로벌 경기침체 이후에는 국내외 경제성장률 및 환율 등 전망치가 자주 수정되고, 지구온난화의 여파로 세계 곳곳에서 기상이변이 잦아져 국제 곡물 생산량 전망치도 자주 수정되었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연초에 발표한 전망치를 수정할 필요가 제기되어 2010년부터 상반기, 하반기로 나누어 “KREI 농업경제전망”을 발표하여 왔다.

이는 연구원이 매년 업그레이드하는 농업부문균형모형인 KREI-KASMO(Korean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 분석결과와 품목 전문가들의 심의를 거쳐 나오는 결과물이다. 2013년은 쌀을 비롯한 주요 채소, 과일류가 전반적으로 풍작이어서 재배업 생산액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축산업도 한우 이외의 전 축종의 생산액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호를 끝으로 2014년부터는 “KREI 농업경제전망” 발간을 중단하게 되었다. 장기로 갈수록 예측오차가 커지게 되는데, 이를 연 2회 전망하는 의미가 적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독자들께서는 장기전망치는 연초의 ‘농업전망’ 발표치를 이용하시고, 단기전망치는 분기별로 발표되는 ‘ 농업·농촌경제동향’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란다.
목차
제1장 국내외 거시경제
1. 국내 거시경제 동향 및 전망
2. 세계 및 주요국 거시경제
3. 국제 원유가격

제2장 국제 농산물 수급전망
1. 밀
2. 옥수수
3. 대두
4. 국제 쌀

제3장 국내 농업경제
1. 주요정책 가정
2. 농업총량
3. 농업물가
4. 경지면적 및 재배면적
5. 주요 농산물 소비량
6. 농업무역수지

제4장 농가인구
1. 농가인구
2. 농가호수
3. 농림어업 취업자수

부록 1: KREI-KASMO 2013 모형 설명
부록 2: 총량 및 주요 품목별 중・장기전망(베이스라인)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발간물 유형
KREI 보고서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0621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기타 (X)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Files in This Item:
KREI 농업경제전망 (2013 하반기).pdf (2.14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