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6차산업화 시장규모는 2010년 1조 엔에서 2020년까지 10조 엔으로 증가한다는 전망에서 시장 개척과 인적자원 육성, 펀드 확보, 농협의 적극적인 참여 등 전 방위에서 접근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6차산업화는 농업내부에서 고용 창출이나 부가가치 향상의 범위를 벗어나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관점에서 지역의 중소기업이 가진 제품 개발능력, 판매망, 노하우 등과 로컬 푸드의 활용을 중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일본에서 6차산업화의 지역실태와 지원정책을 통하여 그 특징을 정리하고 향후 성장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6차산업화는 고령화하는 농촌지역에서 다양한 성과를 내고 있다. 그렇지만 6차산업화가 전국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새로운 과제도 나타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가, 지자체, 지역농협 등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등에 초점을 맞추어 정리하고자 한다.
목차
1. 머리말
2. 6차산업화의 추진배경과 경과
2.1. 배경
2.2. 경과
2.3. 정책 전개
3. 6차산업화의 유형과 특징
3.1. 유형화의 기준
3.2. 유형별 특징
3.2.1. 생산자 주도에 의한 농업 진흥을 기본으로 한 6차산업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