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박준기 | - |
dc.contributor.other | 이명기 | - |
dc.contributor.other | 박기환 | - |
dc.contributor.other | 성주인 | - |
dc.contributor.other | 마상진 | - |
dc.contributor.other | 김태곤 | - |
dc.contributor.other | 정호연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9:55:11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9:55:11Z | - |
dc.date.issued | 2014-11-19 | - |
dc.identifier.other | M127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0952 | - |
dc.description.abstract | 최근에 다양한 국가들과 자유무역협정(FTA)이 지속적으로 체결되고, 쌀 관세화가 이루어지면서 농업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다른 한편으로 농업의 시장 확대를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제 농업도 국내시장 중심에서 세계시장을 바라보는 수출농업, 식량공급 기능 중심에서 생명산업·대체에너지원 공급 산업으로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성장산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세계 인구 증가에 따른 식량 수요의 증가, 소득 향상으로 인한 소비자들의 안전한 고품질 농식품 선호, 에너지 소비구조 변화에 따른 바이오에너지 수요 증가 그리고 가치 중심으로 삶의 형태 변화 등 농업 관련 메가트랜드도 농업이 성장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우리 농업의 제약요인 극복방안으로 ICT·BT 등과 융복합화, 농업과 민간의 협력방안, 수출농업화 방안을 모색하고, 생태농업·가치농업·스마트농업·수출농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 가능성 1. 메가트랜드와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 가능성 2. 농업의 미래성장산업 패러다임과 농업의 역할 3. 농업의 성장산업화 목표와 과제 제2장 농업의 성장산업화 추진 전략 1. ICT·BT 융복합을 통한 농업 신성장동력 발굴 2. 농식품산업의 공세적 수출산업화 3. 지역 자원에 기반한 6차산업화 추진 4. 창조농업을 선도하는 농업주체 육성 5. 기업의 농업참여와 지역농가와의 상생방안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농업은 미래성장산업이다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