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병률 | - |
dc.contributor.other | 김성우 | - |
dc.contributor.other | 김윤진 | - |
dc.contributor.other | 차원규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9:55:58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9:55:58Z | - |
dc.date.issued | 2014-04-30 | - |
dc.identifier.other | C2014-33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1011 | - |
dc.description.abstract | 정부에서는 지역 농산물의 생산기반을 가공 및 유통과 연계하여 관광까지 발전시키는 6차산업화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여 농업인들의 소득을 향상시키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여름철(8~10월)에 독점 공급되는 고랭지배추는 잦은 기상 이변으로 생산 과잉 또는 과소로 가격이 생산이 불안정하게 되고 이는 농가 소득 불안정으로 이어지고 있어 고랭지배추 6차산업화 지구조성으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고랭지배추 가격 안정 및 수급 조절을 위한 고랭지배추 6차산업화 지구조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가장 중요한 생산기반을 안정시키는 방안을 강구하여 고랭지배추 6차산업화 지구조성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고랭지배추 주산지인 강원도 지역의 대관령 안반덕, 태백 매봉산과 귀네미, 정선의 새비재와 발구덕을 현장 조사 및 자료를 수집하고 배추 농가와 간담회를 통해 문제점과 현실적인 방안을 강구하였으며, 또한 지자체 담당자, 농가 대표, 생산자조직, 연구자 등을 초청해 전문가 간담회와 워크샵을 추진하여 품목의 특성과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구조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제2장 고랭지배추 6차산업화 권역별 자원현황 제3장 고랭지배추 6차산업화 기본방향 및 추진과제 제4장 고랭지배추 6차산업화 정책 추진 방안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고랭지배추 6차산업화 지구조성 방안 연구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embargo.terms | 9999-12-31 | - |
dc.embargo.liftdate | 9999-12-31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