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창곤-
dc.contributor.other김병률-
dc.contributor.other박성진-
dc.contributor.other김동훈-
dc.contributor.other정승관-
dc.date.accessioned2018-11-15T09:56:28Z-
dc.date.available2018-11-15T09:56:28Z-
dc.date.issued2014-12-30-
dc.identifier.otherR721-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1053-
dc.description.abstract그동안 정부는 농산물의 수급 및 가격안정, 유통효율화와 물류비용 절감, 생산자 및 소비자 만족도 제고를 위하여 유통구조 개선과 관련하여 막대한 재정을 투입하였으나 여전히 특정 유통단계나 유통주체별로 곳곳에 병목현상이 나타나 전체적인 투자효율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농산물은 유통경로가 복잡하고 유통과정에 참여하는 유통주체가 많아 유통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유통마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또한 제조업과 달리 많은 유통경로 구성원들이 각각의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기 위해 개별‧독립적인 의사결정과 시장행위를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품의 특성상 반복적인 수급 및 가격의 불안정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이에 따라 농산물의 유통비용 절감과 유통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공급사슬 상 프로세스의 통합‧연계관리가 가능한 공급사슬관리(SCM)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매우 필요한 시점인 것으로 판단된다. 농산물 유통의 효율적인 SCM 시스템 구축은 향후 다양한 공급사슬 상의 특성에 맞는 효율성 극대화와 유통비용 절감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기반이 될 것이다.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농산물 유통단계별‧유통주체별‧유통기능별로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유통 및 물류관리 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체 공급사슬의 참여주체 간 상품‧물류‧정보‧자금흐름 등에서 통합‧연계‧협력체계를 바탕으로 수급안정과 물류효율성 제고를 실현할 수 있는 SCM 시스템 구축 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는 데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제2장 농산물 공급사슬관리(SCM)의 개념과 필요성제3장 도매시장 중심 공급사슬의 구조 분석제4장 농산물 공급사슬별 비교 분석제5장 농산물 (SCM) 시스템 구축의 문제점과 방향-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공급망관리(SCM) 시스템 구축 방안 (1/2차연도)-
dc.title.alternativeSupply Chain Management (SCM) System Implementation Plan for Improving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Agricultural Products (Year 1 of 2)-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eon, Changg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Byoungryul-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Seong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Donghoon-
dc.relation.isPartOf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공급망관리(SCM) 시스템 구축 방안(2의1차년도)-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 (R)
Files in This Item: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공급망관리(SCM) 시스템 구축 방안 (1/2차연도).pdf (1.33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