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허장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10:01:53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10:01:53Z | - |
dc.date.issued | 2015-12-30 | - |
dc.identifier.other | D_R769_4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1498 | - |
dc.description.abstract | 우리나라가 2012년 개발한 ‘한국형 ODA 모델’에서는 농업인력 육성을 농림업 분야의 20개 개발협력 프로그램의 하나로 선정하고, 개도국의 농업발전을 위해 우리의 정책경험이 중요한 벤치마킹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여기서는 우리나라가 시행한 농업인력 및 경영체 육성 정책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국제개발협력 사례를 소개한 뒤 개도국 개발협력 사업 시행에서 참고하여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기로 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제2장 한국의 농업인력 육성 정책경험 제3장 국제개발협력 사업 추진 사례 제4장 개도국 적용을 위한 착안점 제5장 요약 및 제언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한국형 ODA 모델」 중 농림업 분야 국제협력 프로그램 심화 연구(2차년도): 농업인력육성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subject.keyword | ODA | - |
dc.subject.keyword | 국제협력 | - |
dc.subject.keyword | 농업인력 | - |
dc.relation.isPartOf | 「한국형 ODA 모델」중 농림업 분야 국제협력 프로그램 심화 연구(2차년도) | - |
D_R769_4.pdf
결과 데이터 / 2.15 M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