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신세린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10:02:28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10:02:28Z | - |
dc.date.issued | 2016-05-16 | - |
dc.identifier.other | E03-2016-05-09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1546 | - |
dc.description.abstract | 스리랑카의 2014년 총 GDP는 약 788억 달러, 1인당 GNI는 3,440달러로 중저소득국가(OECD 원조기준)에 해당한다. 내전 종식 이후 대규모 공공투자 및 인프라 확대, 관광업 호조 등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스리랑카의 건조지대에서는 관개수로 및 하천을 중심으로 수도작 및 전답농업이 성행하며, 전체 인구의 60~70%가 거주하는 습윤지대는 전통적인 홍차, 고무, 코코넛을 주로 생산한다. 본고에서는 스리랑카 농업현황과 정책에 대해 살펴본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스리랑카 일반현황 1.1. 개황 1.2. 자연조건 1.3. 인구구성 1.4. 정치현황 1.5. 외교현황 2. 스리랑카 경제현황 2.1. 스리랑카 GDP 성장률 현황 2.2. 재정 및 물가 2.3. 무역 현황 2.4. 산업구조 3. 스리랑카 농업 현황 3.1. 농업 개황 3.2. 스리랑카 농업정책 동향 3.3. 스리랑카 농업 전망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스리랑카의 농업현황과 정책 | - |
dc.type | KREI 논문 | - |
스리랑카의 농업현황과 정책.pdf
결과 데이터 / 499.65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