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산업 실태와 육성정책 방향

저자
김연중박영구
출판년도
2016-04-15
초록
◦ 곤충산업의 잠재력이 부각되면서 세계 곤충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곤충시장도 3,000억 원(2015) 수준으로 성장. 2020년 곤충시장 규모는 5,400억~ 5,600억 원 수준으로 현재(2015) 대비 1.7배 성장 전망. 특히 사료용, 약용 곤충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그러나 국내 곤충산업은 아직까지 산업으로서의 인식 한계로 대안 마련 필요 - 특히 사료용, 약용, 곤충 유래 바이오소재 개발 시장 등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학습․애완용, 화분매개용, 그리고 지역소재용 시장도 30~40%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 화분매개곤충 시장규모는 현재 수준보다 약 33% 성장한 575억 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보임. 천적곤충 시장도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대 및 정부의 친환경농업육성 정책 추진의 영향으로 현재 수준보다 약 33% 성장한 약 40억~67억 원 수준 전망◦ 그러나 곤충 시설투자비 부담, 질병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곤충 생산 의지 하락. 도시 곤충소비자 역시 구매접근성과 사육관리의 어려움 호소- 곤충생산자는 운영비, 질병관리기술, 곤충의 수요예측 등을 문제점으로 제기. 화분매개 곤충 이용농가(채소, 과수 농가)는 곤충의 품질과 효과에 대한 부정적 인식 만연- 학습․애완곤충 소비자는 곤충 사육관리의 어려움과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등에 한정되어 있는 종 다양성 문제, 비합리적 가격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 곤충 생산농가의 소득을 높이고 곤충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하는 정책방향을 설정하고 법, 제도 등을 개선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음- 현재 초기단계인 곤충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중장기 발전 계획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정부정책 추진 및 R&D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며, 곤충산업 관련 주체들의 역할이 분명하게 설정되고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도 수반되어야 함.- 곤충 중에서 식용 및 약용곤충의 소재 등록이 절실하며 이미지 개선을 위한 다양한 홍보방법 개발 필요. 특히 위해곤충의 수입관리를 철저히 하여 산업잠재력에 대한 마이너스 요인을 제거해야 함.◦ 곤충자원의 생산 및 이용에 의한 직간접 효과를 선험적으로 표현해 보았으나 향후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계기가 있으면 곤충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목차
1. 곤충산업 육성의 필요성 2. 곤충산업 용도별 시장 전망 3. 곤충 생산⋅이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4. 곤충산업 육성 정책과 시사점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발간물 유형
KREI 이슈리포트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1550
Appears in Collections:
이슈페이퍼 > 농정포커스 (J)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Files in This Item:
곤충산업 실태와 육성정책 방향.pdf (795.26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