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정도채 | - |
dc.contributor.other | 성주인 | - |
dc.contributor.other | 심재헌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10:02:31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10:02:31Z | - |
dc.date.issued | 2016-05-13 | - |
dc.identifier.other | PRN123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1551 | - |
dc.description.abstract | ◦ 6차산업화 정책 추진 결과, 관련 활동의 양적 성장과 농가 및 농업법인의 소득 개선이 이루어졌으나 여러 가지 개선 과제가 제기 - 6차산업화에 참여하는 경영체의 수가 증가하여 부가가치도 증가하였으며, 6차산업화 참여 경영체의 수익률과 고용창출 효과가 높음. - 외연 확대에도 불구하고, 6차산업화 제품이나 서비스는 소비자 수요에 부응하지 못하며 자생력이 낮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음. - 6차산업화의 질적 성장과 성과 확산을 지속적으로 뒷받침할 현장 중심의 지원이 필요하나 아직도 미비한 실정이어서, 지역 단위 정책 추진체계 정립이 요구됨. ◦ 개별 농가 농외소득 지원에서 지역 단위 6차산업화 확산으로 정책이 전환되는 시점 -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역 단위 6차산업화를 ʻ특화품목을 중심으로 생산․가공․유통․관광․수출 등에 종사하는 경영체들이 네트워크를 구성, 공동 활동 추진 및 가치사슬 형성 등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지역 단위 시스템ʼ으로 정의하고 6차산업 중심의 농촌 경제 활성화를 위한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그동안 추진한 개별 농가 중심의 6차산업화 정책이 당면한 문제들에 대한 해법으로서 지역 단위 접근의 바람직한 추진 방향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 ◦ 선도 사례를 통해 지역 단위 6차산업화 접근 방향 모색을 위한 시사점 도출 -지역 단위 접근은 6차산업화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유효한 전략이며, 지역 내 다양한 주체들이 연계·협력을 이루는 과정에서 지역 내 새로운 부가가치가 축적될 수 있음. - 민간 주체 중심의 자발적 협력 관계가 활발하게 구축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 ◦ 6차산업화를 통해 지역 차원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정책 과제들을 제시 - 선도 업체 중심으로 추진해온 기존 6차산업화 모델을 지역 내 협업과 분업 체계 구축 방식으로 전환하고 민간 주체들이 주도하는 사업 추진체계를 구축 - 6차산업화 추진 지역들이 다양한 분야의 중앙정부 사업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마련 - 공급 중심의 6차산업화 확대 전략에서 벗어나 6차산업 관련 제품이 차별성 있는 이미지를 형성하고 독자적 시장을 확보하도록 하는 등 소비 기반을 확충 - 6차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도시와 농촌의 파트너십 구축 전략을 마련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6차산업화 정책 동향과 성과 2. 국내외 6차산업화 성공 사례와 시사점 3. 지역 단위 6차산업화 확산을 위한 과제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지역 단위 6차산업화의 추진 방향과 과제 | - |
dc.type | KREI 이슈리포트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