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국 농촌개발을 위한 새마을운동의 국제적 확산

저자
허장이윤정
출판년도
2016-05-19
초록
◦ 우리나라 새마을운동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늘면서 새마을운동 관련 교육을 받은 외국인이 급증하고 개도국 내 새마을운동 관련 기구가 조직되거나, 새마을운동을 벤치마킹한 농촌개발 정책 전개 등의 사례가 나타나고 있음.◦ 2015 UN 총회와 UN 개발정상회의를 통해 우리나라 새마을운동 경험이 국제개발협력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안되었으며,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2016. 5. 3. ʻ새마을운동의 국제적 확산방안ʼ을 발표하였음. - 5대 중점과제로 ① 새마을운동 ODA 개념 명확화, ② 국가별 맞춤형 전략 수립, ③ 사업절차와 방식 개선, ④ 추진체계 개선 및 효율적 역할 분담, ⑤ 개발 주체 참여 확대를 통한 파트너십 강화 등을 설정함.◦ ʻ새마을운동의 국제적 확산방안ʼ은 그동안 일관성이 부족했던 새마을운동 ODA 사업에 일정한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음. 아울러 기존 24개 중점협력국가와는 별도로 새마을운동 개발수요를 고려한 국가별 추진전략을 수립하였음. 특히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산하에 분과위원회를 구성하여 새마을운동 ODA 사업의 계획적 추진, 모니터링, 평가, 조정 등을 담당하게 하였음.◦ 우리나라의 ODA 규모는 아직 국제적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나 빠른 속도로 늘고 있으며, 농촌개발 관련 ODA도 증가추세를 보이면서 KOICA, 농식품부, 농촌진흥청, 경상북도 등에서 농촌종합개발 및 맞춤형 농업기술 개발과 주민교육 등의 형태로 새마을운동 관련 혹은 유사사업들이 추진되어 왔음.◦ 개도국 농촌개발을 위한 새마을운동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하여야 할 것임.- 오늘날의 ODA 사업에 적용될 수 있도록 새마을운동의 개념, 원칙, 세부 방법론을 추상화하여 ʻ새마을 농촌개발 방식(Saemaul Rural Development Approach)ʼ으로 정립되어야 함.- 또 하나의 원조사업이 아니라 대상 지역의 특성과 개발수요에 입각한 세부사업이 자발적으로 발굴될 수 있도록 잠재적 역량을 현재화(顯在化)하는 개발협력사업이어야 함.- 새마을 농촌개발 방식 역시 개발협력사업으로 진행되려면 SDGs를 비롯한 국제사회의 개발협력 목표와 정합성을 갖고, 국제규범을 준수하는 방향으로 사업이 추진되어야 함.
목차
1. 배경 2. 새마을운동 ODA 정책의 추진 3. 우리나라 농촌개발 관련 국제협력사업의 추진 동향 4. 개도국 농촌개발을 위한 새마을운동 방식의 접근방법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발간물 유형
KREI 이슈리포트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1552
Appears in Collections:
이슈페이퍼 > 농정포커스 (J)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Files in This Item:
개도국 농촌개발을 위한 새마을운동의 국제적 확산.pdf (439.33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