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승준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10:05:18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10:05:18Z | - |
dc.date.issued | 2017-02-16 | - |
dc.identifier.other | E03-2017-02-05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1751 | - |
dc.description.abstract | 필리핀 농업은 코코넛, 바나나, 파인애플 수출이 주를 이루며, 풍부한 강수량과 이모작이 가능한 기후임에도 불구하고, 대지주 중심 토지제도, 관개시설 부족, 우량종자 미보급 등으로 인해 쌀 자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쌀을 수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필리핀 정부는 국가개발계획 2017-2022 농업분야 개발전략을 통해 장기적으로 모든 농업종사자들의 경제적 기회 확대, 특히 영세 농어민의 경제적 기회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필리핀의 농업현황과 정책에 대해 살펴본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필리핀 일반현황 1.1. 개황 1.2. 자연조건 1.3. 정치 현황 1.4. 필리핀 경제현황 2. 필리핀 농업현황 2.1. 농업 개황 2.2. 주요 농산물 생산・교역 현황 3. 필리핀 농업개발전략 3.1. 농업분야 국가개발계획 2011-2016 평가 3.2. 필리핀 농업개발의 문제점 3.3. 필리핀 농업 개발계획 2017-2022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필리핀의 농업현황과 정책 | - |
dc.type | KREI 논문 | - |
필리핀의 농업현황과 정책.pdf
결과 데이터 / 449.81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