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제3차 삶의 질 계획 부문별 성과‧한계 및 정책 과제
- 저자
- KREI
- 출판년도
- 2017-01-30
- 초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으로서 ‘삶의 질 정책 연구센터’를 출범하여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범정부 정책 추진을 지원해오고 있다. 이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2015년부터 연구기관, 농촌 주민, 현장 전문가 등 삶의 질 정책 네트워크 구성원이 참여하여, 삶의 질 영역별 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삶의 질 정책토론회를 개최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와 공동으로 개최한 2016년 정책 토론회에서는 제3차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2015~2019) 2년차의 정책 성과와 과제를 점검하고, 삶의 질 정책 부문별 현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삶의 질 우수사례를 공유하여 향후 삶의 질 정책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 자료집은 정책토론회에서 발표된 세 편의 주제발표와 일곱 편의 부문별 발표문을 토론 내용과 함께 담고 있다. 삶의 질 정책 추진에 따른 성과와 정책 과제를 살펴보았고, 지역 주체들의 참여를 통한 농어촌 주민의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해법을 모색해보았다.
- 목차
- 1부 주제발표
제1주제: 제3차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시행 2년의 성과와 과제
제2주제: 농촌의 교육 주체로서 지역 주민의 역할과 가능성
제3주제: 마을에서 자라는 아이들, 마을에서 살아갈 아이들
1부 종합토론
2부 부문별 정책토론
(1세션) 복지‧교육‧문화 부문
제1주제: 농어촌 기초생활보장제 사각지대 해소
제2주제: 어촌 주민의 삶의 질 실태 및 개선 과제 - 어촌 지역 공공 보건기관 이용 실태를 중심으로
제3주제: 주민의 문화 참여 확대 및 향토문화 활용 방안
(1세션) 복지‧교육‧문화 부문 토론내용
(2세션) 경제활동‧일자리 부문
제1주제: 결혼이민여성 농업인 전문인력화를 위한 정책 과제
제2주제: 과거와 현재, 농촌지역 일자리는 어떻게 변했을까? - 농촌지역 노동시장 변화 모습과 과제
(2세션) 경제활동‧일자리 부문 토론내용
(3세션) 정주생활기반 부문
제1주제: 농어촌 최저주거기준 도입 방안
제2주제: 농어촌 교통 서비스 개선 방안
(3세션) 정주생활기반 부문 토론내용
- 발행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발간물 유형
- KREI 보고서
- 보고서 번호
- D429
- 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1893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연구자료 (D)
- 공개 및 라이선스
-
- Files in This Ite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