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광선 | - |
dc.contributor.other | 안석 | - |
dc.contributor.other | 박지연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13:05:29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13:05:29Z | - |
dc.date.issued | 2016-12-30 | - |
dc.identifier.other | P224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1902 | - |
dc.description.abstract | 우리나라에서 농촌관광은 농가의 소득 증대 또는 농촌의 농외소득 증대 일환으로 1980년대부터 추진되었으며, 2000년대부터는 농촌의 다원적 자원을 활용한 마을단위 농촌지역개발의 일환으로 추진되어 왔다. 이렇게 추진되어 온 농촌관광은 국내 관광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농촌경제의 새로운 기반산업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농촌관광은 여전히 산업적 관점보다는 정부 주도 정책사업의 관점에서 접근되어 왔으며, 내용도 마을단위의 농사체험이나 농촌생활체험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속적인 활성화와 성장을 유도하는 데 정책적 한계가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책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농촌관광의 융·복합 전략 추진을 제시하였다. 사실 융·복합은 관광산업의 새로운 전략이기보다는 본질적 특성이다. 관광이 융·복합을 통해 산업영역을 형성·확대해 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면은 농촌관광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농촌관광을 과거와 같은 정부 주도의 정책사업, 그것도 마을단위 중심의 농촌지역개발사업으로만 추진하기보다는, 본질적인 융·복합 특성을 전략적으로 확대하여 농촌관광의 산업적 성장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하에서 다양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융·복합 전략을 제시하였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resent study is based on the awareness that industrial convergence and technological convergence are the core strategies and the essence of rural tourism. There are two main purposes of the study; 1) discovering and presenting various examples of rural tourism which can show convergence in rural areas; 2) presenting convergence strategies as policy tasks to vitalize rural touris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this study employes 4 main method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for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policies, statistical analyses, surveys of principal agents related to rural tourism, and case studies for convergence in rural tourism. As results, this study presents policy implementation direction of convergence strategies in rural tourism and policy tasks for the strategies. For the implementation direction, this study suggests to consider the following poiloy directions; 1) the transition from the provider-oriented rural tourism to consumer-oriented rural tourism; 2) expansion of policy scope in rural tourism; 3) the change of policy direction to support the vitalizations of rural tourism; and 4) promoting governance establishment for local rural tourism instead of nurturing individual provider. This study also suggests to consider the following policy tasks; 1) fostering one theme rural tourism in one rural si or gun; 2) nurturing specialized enterprises and middle supportive organizations for rural tourism; 3) constructing infrastructure for convergence type of rural tourism; 4) develop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4) advancing a promotion plan for rural tourism industries and discovering collaborative programs among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Researchers: Kim Kwangsun; An sok; Park jiyeon Research period: 2016. 6. ∼ 2016. 12. E-mail address: yeskskim@krei.re.kr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제2장 관광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농촌관광 제3장 우리나라 농촌관광 정책의 변화와 실태 제4장 농촌관광 운영 및 융·복합 실태 제5장 농촌관광 융·복합 전략 추진의 국내외 사례 제6장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융·복합 전략 추진 방향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융복합 전략 | - |
dc.title.alternative | Convergence Strategies to Vitalize Rural Tourism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Kwangsun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An, Sok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Jiyeon | - |
dc.relation.isPartOf |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융복합 전략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