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상현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13:06:10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13:06:10Z | - |
dc.date.issued | 2017-09-15 | - |
dc.identifier.other | E03-2017-09-03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1961 | - |
dc.description.abstract | 유전자변형(Genetically Modified, 이하 GM) 작물이 상업화된 지 20년이 지났다. 지난 20년간 GM작물은 높은 생산성, 경작의 편이성, 신 수요에의 부합성 등의 이점을 토대로 재배면적이 널리 확산되었다. 우리나라는 GM작물을 생산하거나 상품화하고 있지는 않지만 GM작물의 세계 3대 수입국 중 하나로 GM작물은 이미 우리의 식량 소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GM작물에 대한 이해 제고를 위하여 GM작물의 재배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서론 2. GM작물 재배면적 2.1. 연도별 GM작물 재배면적 추이 2.2. 국가별 GM작물 재배면적 3. GM작물별 재배면적 3.1. GM 대두 3.2. GM 옥수수 3.3. GM 면화 3.4. GM 카놀라 4. GM 특성별 재배면적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세계 GM작물 재배 동향 | - |
dc.type | KREI 논문 | - |
dc.citation.endPage | 58 | - |
dc.citation.startPage | 45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page. 45 - 58 | - |
세계 GM작물 재배 동향.pdf
결과 데이터 / 347.05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