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최근 귀농·귀촌 실태와 시사점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섭-
dc.contributor.other이정해-
dc.date.accessioned2018-11-15T13:06:40Z-
dc.date.available2018-11-15T13:06:40Z-
dc.date.issued2017-07-21-
dc.identifier.otherPRN151-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1997-
dc.description.abstract◦ 저출산·고령화로 지방소멸론 논란 있으나 인구이동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국내 총인구 중 농촌 인구의 비율은 2015년 18.4%를 기록, 지속적인 하락 추세에서 처음으로 벗어남(농촌 인구 939만 2,000명) - 수도권에서만 나타나던 인구 순증 현상이 전국 농촌 시·군으로 확산되는 추세 - 농촌 인구 증가의 주된 이유는 귀농·귀촌 인구 증가, 외국인 전입 등 사회적 요인 - 향후 10여 년 동안 농촌 인구는 소폭 증가하다가 2030년 무렵부터 다시 감소할 것으로 예상 ◦ 최근의 귀농·귀촌 인구 증가 추세 속에, 젊은 연령층의 귀농·귀촌도 확대 - 귀농·귀촌 인구는 2013년에 약 40만 명 수준이었다가, 2016년에는 49만 6,048명 - 동반 가구원을 포함한 귀농 가구 인원은 2016년에 2만 559명 - 귀농인 중에는 은퇴 연령층 비율이, 귀촌인 중에는 상대적으로 젊은층 비율이 높음 - 50~60대 귀농 가구 비율이 66%에 달하며, 40대 이하 귀농 가구 비율은 28%로 그 수도 꾸준히 증가 - 40대 이하 귀촌 가구가 전체 귀촌 가구의 63.9% ◦ 직업으로서 농업의 가능성과 자연환경에 대한 선호가 귀농·귀촌의 동기 - 30대 이하 귀농인 가운데 53.6%가 농업의 비전 및 발전 가능성, 가업 승계, 실직 및 사업 실패 등의 직업적 이유로 귀농 - 귀촌인의 모든 연령층에서 ‘자연환경이 좋아서’라는 귀촌 동기가 가장 높은 비율 ◦ 귀농·귀촌 정착 자금은 평균 1억 7,703만 원, 귀농인은 영농기반 마련에 평균 1억 2,073만 원을 사용 - 30대 이하 청년 귀농인은 평균 7,420만 원 투자, 젊을수록 신규취농에 자본 부족이 걸림돌 - 자본 외에도 영농 기술 및 경험 부족과 농촌 정착 초기의 소득 하락이 큰 어려움 - 귀농 가구의 귀농 첫해 평균 소득은 1,782만 원으로 귀농 직전의 40% 수준 - 농업소득만으로 가계를 유지하기 어려워, 농외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음 ◦ 귀농·귀촌은 한국 농업을 이끌어 갈 인적 자원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중요한 계기이자, 농촌 지역사회 활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사회 트렌드 - 귀농·귀촌 인구가 농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게 신규취농, 주거, 일자리 측면의 정책을 확대하는 동시에 체계적으로 추진해야 함-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농촌 인구 변동에 관한 논의와 전망 2. 귀농‧귀촌 실태 3. 시사점-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최근 귀농·귀촌 실태와 시사점-
dc.typeKREI 이슈리포트-
Appears in Collections:
이슈페이퍼 > 농정포커스 (J)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