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성재훈 | - |
dc.contributor.other | 이혜진 | - |
dc.contributor.other | 정학균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13:06:42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13:06:42Z | - |
dc.date.issued | 2017-10-13 | - |
dc.identifier.other | PRN155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2000 | - |
dc.description.abstract | ○ 2012년 이후 감소하던 친환경농산물(유기+무농약) 인증실적은 2016년 다시 증가세로 전환됨.– 2016년 국내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전년 대비 약 5.8% 증가한 79.5천 ha이며, 출하량은 전년 대비 24.2% 증가한 571.2천 톤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출하량 증가와 가격상승으로 2016년 회복세에 들어섬.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1조 4,665억 원으로 추정됨.○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는 연평균 5.9% 성장하여 2025년에는 2조 4,563억 원(유기농산물 5,543억 원, 무농약농산물 1조 9,019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세계 유기농식품 시장규모는 2000년 이후 공급보다 수요가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유기농식품의 안정적인 생산과 수출에 관한 전략이 필요함. – 2015년 세계 유기농 식품·음료 시장규모는 816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 증가,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임. – 하지만 지난 15년 동안 세계 유기농 식품·음료 시장은 356% 성장한 반면, 유기농경지 면적은 240% 증가하여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실정임.○ 친환경농산물의 시장 확대를 위해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과 신뢰도 회복을 위한 정책이 필요함. – 안정적인 생산 토대 구축을 위해 지역별·품목별로 특화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며, 유기농산물 생산의 비중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 2017년 6월 이후 민간 주도로 인증체계가 전환됨. 따라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민간인증기관의 역량 강화 방안과 민간인증기관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함.○ 지속가능한 농업생산과 친환경농산물 생산의 인센티브 제고를 위해 현재 준비 중인 농식품부의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 상호준수 프로그램인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도입과 확산을 통해 친환경농산물 생산을 재정적으로 지원할 뿐만 아니라 국내 농업생산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또한 농업환경보전프로그램 도입은 친환경농산물 생산의 환경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친환경농산물 관련 자료 및 통계가 매우 부족할 뿐만 아니라 생산자 혹은 이해당사자가 인지하고 있는 시장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함. 이는 친환경농업 관련 정책의 효율성 제고에 어려움으로 작용함. 따라서 친환경농산물 시장, 소비자와 생산자의 행태 변화 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자료 구축과 연구가 필요함.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생산현황 2.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시장규모와 전망 3. 세계 유기농업의 현황 4. 시사점 및 향후 과제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2017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시장 현황과 과제 | - |
dc.type | KREI 이슈리포트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