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송성환 | - |
dc.contributor.other | 노수정 | - |
dc.contributor.other | 최병옥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13:06:56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13:06:56Z | - |
dc.date.issued | 2015-04-06 | - |
dc.identifier.other | PRI003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2017 | - |
dc.description.abstract | ◦ 2000년 이후 건고추 생산량은 연평균 5.7%씩 감소 - 2000년 이후 재배면적은 연평균 5.0%씩 감소하여 2014년에는 36,120ha를 기록 - 10a당 수확량은 2000년 이후 연평균 0.7%씩 감소하여 품종 및 재배기술 개발이 미흡한 상황 ◦ 2000년 이후 고추류 수입량 연평균 9.4%씩 증가 - 2000~2013년(연산기준) 고추류 수입량은 연평균 9.4%씩 증가함. 국내 생산량이 최저였던 2011년 수입량은 119,256톤으로 가장 많았으며, 2012년 이후에도 95,000톤 내외를 유지 ◦ 건고추 평년 자급률 54% 수준 - 2000년산 건고추 자급률은 89%에 달하였으나, 최근 재배면적 감소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54% 수준으로 낮아짐. ◦ 2015년산 건고추 생산량 평년 대비 6~34% 감소 전망 - 재배의향조사결과, 2015년산 건고추 재배면적은 역대 최저인 34,300ha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 - 재배면적에 최근 5년간 최소, 평균, 최대 단수를 적용할 경우 생산량은 평년 대비 6~34% 감소할 듯 ◦ 2015년산 건고추 수급안정을 위해 적정 생산량 유지 필요 - 농업관측을 통한 재배면적 감소의 심각성 홍보, 농협 계약재배 확대, 예비묘 확보 및 지원 등을 통한 적정 재배면적 유지 노력 필요 - 생육관리 및 지도, 비가림 재배 확대를 통한 단수 증대 노력 필요 - 중장기적으로 일시수확형, 수확횟수 적은 품종, 내병성 품종 개발 지속 추진 ◦ TRQ 수입관리를 통한 가격 안정 유도 - 2015년산 생산량 감소가 우려되나, 현재 이월재고량이 남아있어 가격 상승폭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있음. - TRQ 수입량 및 수입시기를 조절하여 가격 안정을 유도할 필요가 있음.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문제 제기 2. 건고추 생산 및 수출입 동향 3. 건고추 수급 및 가격 동향 4. 2015년산 건고추 생산 및 수급전망 5. 대응방향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2015년산 건고추 재배면적 감소와 대응방향 | - |
dc.type | KREI 이슈리포트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