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지성태-
dc.contributor.other이현근-
dc.contributor.other강대운-
dc.date.accessioned2018-11-15T13:07:08Z-
dc.date.available2018-11-15T13:07:08Z-
dc.date.issued2016-10-31-
dc.identifier.otherPRI021-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2034-
dc.description.abstract◦ ’16년 9월 3일 한・러 정상은 러시아에서 개최된 제2차 동방경제포럼(EEF)에서 한・EAEU FTA 협상에 필요한 후속 조치를 취하기로 합의 - 한・EAEU는 지난 10월 5일 개최된 고위급 회담을 계기로 민간 차원의 공동연구를 종료하고 정부 차원의 FTA 추진 협의 본격화 ◦ EAEU 회원국은 주요 식량작물과 곡물 가공품, 일부 축산물과 축산 가공품을 중심으로 생산하고 있으나, 전 세계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비교적 낮음. - 농산물은 밀, 감자, 보리, 사탕무, 옥수수 등이 생산되며, ’10년 이후 연평균 10% 이상(키르기스스탄 제외)의 큰 폭으로 증가 - 축산물은 우유(젖소) 생산량이 4,378만 톤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닭고기(400만 톤), 돼지고기(341만 톤), 계란(278만 톤)과 쇠고기(248만 톤) 순임. ◦ EAEU는 119억 달러의 농축산물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으며, 수출은 주요 곡물과 일부 낙농품, 수입은 자국 내 생산량이 적은 과일·과채류와 육류 위주임. - 밀(메슬린)과 밀가루, 보리의 수출액은 각각 51.2억 달러, 5.8억 달러와 10.5억 달러로 각각 전 세계 수출액의 15.9%, 13.9%와 15.1%로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 - 바나나, 사과와 만다린린류 수입액은 각각 10억 달러(8.3%), 8.9억 달러(15.1%)와 7.1억 달러(18.1%)이며,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각각 11.1억 달러(8.0%)와 8.4억 달러(10.1%)임. ◦ 우리나라의 對EAEU 농축산물 수출액(1.9억 달러)은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EAEU산 농축산물 수입액(4.4억 달러)은 증가 추세 - 농축산물 수출은 마요네즈(891만 달러), 잎담배(682만 달러), 유아용 조제식료품(307만 달러)과 기타제조담배(154만 달러) 등의 가공식품 위주임. - 농축산물 수입은 옥수수(1.4억 달러), 밀(468만 달러), 사향(1,098만 달러), 녹용(1,028만 달러)과 우황(599만 달러) 등 곡류와 축산 가공품 위주임. ◦ ‘유라시아이니셔티브’와 ‘한・EAEU FTA’ 추진으로 유라시아 시장에 대한 우리나라의 무역・투자 활성화가 전망되는 가운데, EAEU 농축산물 생산・교역 동향을 바탕으로 농업분야 FTA 협상 및 對유라시아 농축산물 수출 전략 수립 필요 - EAEU 회원국의 농축산물 교역구조에서 주요 수출 품목과 수입 품목이 확연히 구분되기 때문에 FTA 협상 시 품목별 차별적인 접근 전략 필요 - 한·EAEU FTA 추진을 계기로 새로운 수출품목을 발굴하고 검역 등의 비관세조치를 최소화하며, 기존 수출품목을 중심으로 선점효과를 극대화하여 수출시장 확대 노력-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한・EAEU FTA 추진 배경 2. EAEU의 농업 현황 3. EAEU의 對세계 농축산물 교역 동향 4. 한・EAEU 농축산물 교역 동향 5. 시사점-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EAEU 농축산물 생산·교역 동향과 시사점-
dc.typeKREI 이슈리포트-
Appears in Collections:
이슈페이퍼 > 현안분석 (J2)
Files in This Item:
EAEU 농축산물 생산·교역 동향과 시사점.pdf (618.16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