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무역 불균형 “팩트체크”와 농업부문 대응방향
-
저자
- 이현근; 명수환; 임채환; 송우진
-
출판년도
- 2017-10-17
-
초록
- ○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간 무역 불균형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미 FTA 재(개정)협상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으며, 현재 한・미 FTA 재협상 절차 시작에 합의
– 트럼프 대통령의 한・미 FTA 재협상 요구에 의해 한・미 FTA 공동위원회 특별회기를 2차례에 걸쳐 개최했으며, 제2차 특별회기를 종료하고 양국 대표는 한・미 FTA 개정협상 절차를 시작하기로 합의
○ 한・미 간 국제수지에서 경상수지는 우리나라가 미국에 대해 흑자를 기록하지만, 상대국에 대한 투자규모는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더 큼. 한・미 양국의 무역특화는 대외 경쟁력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남.
– 우리나라의 對미국 평균 투자액(금융계정)은 FTA 발효 전 31억 달러 부채에서 FTA 발효 후 181억 자산으로 변했으며, 對미국 경상수지 흑자는 FTA 발효 전 평균 162억 달러에서 발효 후 평균 335억 달러로 106.7% 증가함.
– 우리나라의 對미국과 對세계(RoW) 경쟁력이 높은 산업군의 무역특화지수는 모두 하락했고, 미국은 對세계(RoW) 무역특화지수는 악화된 반면 對한국은 개선
○ 농식품 분야 상품교역은 우리나라의 일방적인 수입특화 구조이며, 축산(낙농 포함), 과일과 견과류 등의 상품수지 적자가 FTA 발효 전보다 악화
–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경쟁력이 높은 농식품 품목군의 무역특화지수는 미국(0.97)보다 낮고2011년 0.68에서 2016년 0.61로 하락함. 반대로 경쟁력이 낮은 품목군은 미국(-0.66)보다 낮은 수준으로 같은 기간 –0.96에서 –0.94로 소폭 상승
– 쇠고기(지육 1.5억 달러, 정육 2억 달러), 신선치즈(0.1억 달러), 탈지분유(0.08억 달러), 오렌지(0.5억 달러), 포도(0.09억 달러), 자몽(0.06억 달러) 등의 상품수지 적자 증가
○ 한・미 무역 불균형은 경상(상품)수지를 포함한 거시적인 국제수지를 통해서 볼 때 균형 있는 판단이 가능하며, 상품 분야 무역 불균형 해소는 자유무역협정의 취지에 역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전개될 필요
– 미국산 농산물에 대한 협정관세율의 즉시철폐는 기존 수입특화 구조를 고착화시킬 수 있으며, 우리나라가 맺은 다른 FTA 체결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따라서 상품수지 적자 해소를 위한 목표는 협정관세율 및 철폐기간의 재조정보다 대내외 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필요
○ 우리나라는 농식품 수입특화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과 국내 농업부문 산업구조와 시장여건 등을 고려한 정책방향 설정 필요
– 수입특화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대외 경쟁력 제고, 국내 소비자 및 시장여건을 반영한 농업 및 농업정책의 틀 전환과 이를 위한 거버넌스 차원의 협력체계 구축 필요
-
목차
- 1. 서론
2. 한・미 국제수지 현황
3. 한・미 산업별 상품교역과 무역특화지수(TSI) 분석
4. 요약 및 시사점
-
발행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발간물 유형
- KREI 이슈리포트
-
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2055
-
Appears in Collections:
- 이슈페이퍼 > 현안분석 (J2)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
- Files in This Item:
-
한‧미 무역 불균형 “팩트체크”와 농업부문 대응방향.pdf (2.5 MB)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