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KREI OA 정책
KREI 전자도서관
검색
Collections
KREI 연구자
Titles
Date
저자
KREI Repository
이슈페이퍼
이슈리포트(J3)
[FTA 13호] 당근 수급 현황 및 시사점
DC(XML)
XLS (EXCEL)
RIS (EndNote)
저자
FTA이행지원센터
출판년도
2015-09-15
초록
◦ 우리나라와 FTA를 체결한 국가(경제권)들의 당근 생산량1)은 세계 전체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
◦ 2000년대 들어 당근 수입량이 급증하는 추세를 보였고, 2011년부터 9만 톤 이상 수입
◦ 국내 당근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2000년대 수입 당근 증가로 감소 추세를 보임.
◦ 특히, 생산 비중이 가장 큰 겨울당근과 고랭지당근 감소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남.
◦ 2014년 기준, 전체 당근 재배면적에서 제주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60%로 가장 높고, 그 외 경상북도, 경상남도, 부산과 강원도가 각각 15.4%, 10.3%, 3.9%와 3.4%를 차지
◦ 1인당 연간 당근 소비량은 2007년 이후 평균 2.7kg 수준을 유지
◦ 수입 당근은 주로 식당, 식자재 유통업체, 소규모 마트 등에서 소비됨.
◦ 반면, 국산 당근은 대부분 흙(모래)당근 형태로 유통되며 가정용으로 소비됨.
◦ 수입 당근 도매가격이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산 당근과의 가격차가 점차 좁혀짐.
◦ 품질과 가격 면에서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는 수입 당근의 국내 시장 점유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큼.
◦ 국내 당근 생산기반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품종 개량, 자연재해 피해 최소화, 소비 촉진 등이 시급한 과제임.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발간물 유형
KREI 이슈리포트
보고서 번호
FTA-IR-013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2091
Appears in Collections:
이슈페이퍼
>
이슈리포트(J3)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공개 및 라이선스
공개 구분
공개
Files in This Item
[FTA 13호] 당근 수급 현황 및 시사점.pdf
결과 데이터 / 1.28 MB / application/pdf
Download
BROWSE
Collections
Titles
저자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