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마상진-
dc.date.accessioned2018-11-15T13:08:53Z-
dc.date.available2018-11-15T13:08:53Z-
dc.date.issued2017-12-18-
dc.identifier.otherE03-2017-12-01-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2182-
dc.description.abstract농업을 중심으로 경제활동을 해왔던 농촌 지역사회는 농업 비중의 약화와 더불어 외국인 노동자, 도시 귀농자 등 다양한 외지인들의 유입으로 일자리 정책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농촌 경제의 다각화 및 역도시화(Counter-urbanization), 즉 도시의 인구가 도시 밖으로 벗어나 감소하는 현상을 먼저 경험한 선진국들의 농촌 일자리 정책 관련 동향을 OECD 발간 보고서와 관련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들어가며 2. 농촌 일자리 관련 정책 수단 및 숙련 노동 3. 농촌 일자리와 적응력 높은 숙련 노동 창출 4. 농촌 일자리와 지역의 숙련노동 활용도 제고 5. 농촌 일자리와 숙련 향상 지원 6. 농촌의 신생 성장 산업분야에 대한 교육‧훈련 강화 7. 농촌 지역 일자리 거버넌스 8. 농촌 지역 일자리 정책과 프로그램 사례 8.1. 유럽연합 EQUAL 프로젝트와 프랑스 꼬오페레 사례 8.2. 일본의 실천형 지역고용 창조사업과 후카우라마을 사례 9. 요약 및 시사점-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OECD선진국들의 농촌지역 일자리 전략-
dc.typeKREI 논문-
dc.citation.endPage23-
dc.citation.startPage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page. 3 - 23-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Files in This Item:
OECD선진국들의 농촌지역 일자리 전략.pdf (459.25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