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섭-
dc.contributor.other안석-
dc.contributor.other이정해-
dc.contributor.other김경인-
dc.date.accessioned2018-11-15T13:10:40Z-
dc.date.available2018-11-15T13:10:40Z-
dc.date.issued2017-09-30-
dc.identifier.isbn979-11-6149-109-7-
dc.identifier.otherP240-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2325-
dc.description.abstract농업은 원래 여러 사람들이 같은 밥상에서 함께 먹는 일의 시작이다. 먹거리 생산이라는 본래의 역할 외에도, 농업 활동과 결합하여 일자리가 필요한 사람에게 농업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농업 활동에 내재한 치료적 요인을 활용해 아픈 사람을 돌보거나, 지식‧기능이 필요한 사람에게 농업 분야의 교육훈련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실천을 사회적 농업이라 부른다. 사회적 농업은 사회 구성원이라면 누려야 할 편익이나 권리로부터 배제된 사람들을 끌어안는 사회 통합의 실천이다. 특히, 농업 부문이 앞장서는 실천이다. 농업인은 무엇보다 국민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해 공급하는 주체로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요청받는다. 그런데 농산물 생산자로서의 역할 외에도, 농업 활동을 매체 삼아 사회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혁신하려는 다양한 실천이 출현하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사회적 농업이다. 주변을 둘러보면 사회에 통합되지 못한 채 남겨진 이들이 적지 않다. 빈곤하기 때문에, 민족이 달라서, 지적‧신체적 장애가 있어서, 또는 다른 여러 가지 이유로 그런 일이 일어난다. 도시나 농촌이나 마찬가지로 이들이 사회 안에서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는 조건을 만드는 일은 국가의 몫이자 국민 모두의 몫이다. 이제 사회 통합은 한국 사회 전체의 과제다. 농업‧농촌도 예외가 아니다. 도시와 농촌, 농업과 사회 각 부문 사이의 격차나 거리감이 점점 커져 위기를 낳고 있다. 농촌 내부에서도 저마다의 입장에 처한 사람들 사이의 연대, 협력, 공동선을 추구하는 실천이 그 어느 때보다 더욱 필요하다.-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of Research Social Farming means all activities that use agricultural resources in order to promote social inclusion in rural areas. Increased focus on social farming and the recent discussions in Korea drives this research. The study aims to delve deeply into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farming in rural Korea and draw some policy implications. Method of Research Three types of methods were used. Previous studies on other countries and Korea were reviewed to explore concepts and cases of social farm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on the practices of social farming in rural Korea. Also, Q-method was chosen for gaining information on perception of stakeholders involved in social farming.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this study derived some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and researchers to consider when they design policie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study defined social farming as practices that utilize agricultural resources to pursue social inclusion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In addition, ‘social inclusion’, ‘social innovation’ and ‘social economy’ were considered as explaining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ocial farming.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educ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ly, it is asked to determine the range of policy sectors to effectively counter further development. Second, it is suggested to be operated on the cooperative. Thir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linkage with the health care systems. Last but not least, it is necessary to be circumspect to make ineffective qualifications or policy regulations. Researchers: Kim JeongSeop, An Sok, Lee JungHae, Kim KyungIn Research Period: 2017. 3. ~ 2017. 9. E-mail address: jskkjs@krei.re.k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제2장 사회적 농업 논의의 지형: Q방법 조사 결과 제3장 외국의 사회적 농업 실천 사례와 정책 제4장 한국의 사회적 농업 실천 사례 제5장 결론: 사회적 농업 정책의 방향-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 방향-
dc.title.alternativeSocial Farming in Rural Korea and Policy Direction-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eongseop-
dc.contributor.alternativeNameAn, Sok-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정책연구보고 (P)
Files in This Item:
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 방향.pdf (2.56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