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채광석 | - |
dc.contributor.other | 이현정 | - |
dc.contributor.other | 손학기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13:14:01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13:14:01Z | - |
dc.date.issued | 2018-07-02 | - |
dc.identifier.other | PRN164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2624 | - |
dc.description.abstract | ○ 우리나라 농지제도는 ‘경자유전 원칙’을 기본이념으로 하고 있음. 하지만 농업‧농촌을 둘러싼 제반 상황이 점점 어려워지면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생산성이 낮은 농지를 영농여건불리농지로 지정‧고시하여 소유제한을 폐지하고 농지전용 절차를 간소화함. – 영농여건불리농지의 도입 이유는 농지에 대한 일률적 규제를 합리화하여 영농여건이 불리한 한계농지의 규제를 완화하고, 헌법상 경자유전 원칙의 범위 내에서 비농업인의 농지 소유 규제를 완화하여 국가경제 및 농촌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있음. ○ 하지만, 영농여건불리농지는 농업적 활용뿐만 아니라 비농업적 활용에도 한계가 존재하며, 제도 도입을 통한 농지의 유휴화 방지 및 도시민의 귀농 촉진은 미흡 – 2016년 기준 영농여건불리농지 지정면적 110,415ha 중 단지 5.7%만이 비농업적 목적으로 토지가 활용되고 있고, 이마저도 용도지역 간 큰 차이가 발생 – 2015년 기준 농업경영체 DB에 등록된 영농여건불리농지의 휴경률은 12.8%로 매우 높고, 경작 농가 평균 연령, 영농경력 역시 일반 농업경영체에 비해 긴 편 – 영농여건불리농지 경작농가의 농업시작 및 종사형태 분석결과, 제도 도입으로 인한 신규 농업경영체의 농업활동은 미흡하고, 기존 농업경영체의 농업활동이 상대적으로 많음. ○ 영농여건불리농지 지정으로 인해 농지가격의 상승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농업적 활용은 지정 지역, 지형‧지세, 도로 접근성과 관련 – 영농여건불리농지 지정으로 인한 농지가격 상승효과는 6.7% 수준 – 영농여건불리농지 중 지형‧지세가 높고, 경사도가 클수록, 간선도로와의 거리가 멀수록 비농업적 목적의 토지 활용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파악 ○ 영농여건불리농지 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휴경농지 임대수탁사업 도입, 유휴토지 지정, 농지부담금 감면 등의 유인 제공, 지역에 따른 지정기준 차등 적용이 필요 – 현행 영농여건불리농지 지정방식은 영농여건불리농지와 개발수요와의 괴리, 낮은 농지이용률과 높은 휴경률 등의 문제를 야기 – 제도 개선에 앞서 최근 논의되고 있는 직불제 개편, 식량자급률 목표치 달성을 위한 농지 보전, 급격한 농업‧농촌 인구 고령화 대응, 헌법 개정논의 대응을 고려한 개편방안 모색 필요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영농여건불리농지제도란? 2. 영농여건불리농지 지정 및 이용 현황 3. 영농여건불리농지 지정 효과 4. 영농여건불리농지 제도 개선 방향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영농여건불리농지 지정제도 운영실태 및 개선방향 | - |
dc.type | KREI 이슈리포트 | - |
영농여건불리농지 지정제도 운영실태 및 개선방향.pdf
결과 데이터 / 2.31 M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