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백주영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13:14:16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13:14:16Z | - |
dc.date.issued | 2018-07-19 | - |
dc.identifier.other | E03-2018-07-01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2642 | - |
dc.description.abstract | 국제교역의 확대로 무역이익이 증대되는 만큼 그 반대급부로서 병원체로 인한 각종 전염병의 전파 가능성도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무역자유화의 달성과 국민 또는 동식물의 생명·건강·안전의 보호라는 두 가지 상충하는 가치와 목적을 균형있게 추구하기 위한 국제규범이 국내외적으로 채택·시행되었는데, 이를 ‘위생 및 식물위생조치(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 SPS조치)’라고 한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와 축산물의 교류가 활발한 프랑스, 덴마크, 포르투갈의 수출입 관리체계 및 국가별 수의조직·업무 등 EU 주요국가의 SPS조치 시스템을 살펴본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머리말 2. EU 수출입 관리체계 2.1 개요 2.2. 프랑스 2.3. 덴마크 2.4. 포르투갈 3. 맺음말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EU 주요국의 동물·축산물 검역제도 | - |
dc.type | KREI 논문 | - |
dc.citation.endPage | 25 | - |
dc.citation.startPage | 3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page. 3 - 25 | - |
EU 주요국의 동물·축산물 검역제도.pdf
결과 데이터 / 523.98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