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 고부가 상품개발 및 산업화기반 구축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 요약보고서
DC Field |
Value |
Language |
dc.contributor.author | 전창곤 | - |
dc.contributor.other | 박성진 | - |
dc.contributor.other | 김동훈 | - |
dc.contributor.other | 정승관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13:15:18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13:15:18Z | - |
dc.date.issued | 2017-10-30 | - |
dc.identifier.other | C2017-70-1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2726 | - |
dc.description.abstract | 우리나라 전통주산업은 역사적‧문화적 자산으로서 다양하고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정부는 전통주산업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왔지만 전체 주류산업에서 차지하고 있는 전통주의 시장점유율은 매우 낮은 수준이며, 산업성장률도 상대적으로 낮아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한편 전통주 관련 R&D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소 및 국가기관들이 있지만 대부분의 분야에서 시장적용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전통주산업은 제조‧유통‧소비‧제도‧홍보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당면과제를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현 시점에서 전통주 관련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우리 술 연구소(가칭)’의 설립 및 운영에 대한 기본계획 수립과 함께 전통주 고부가 상품개발 및 산업화기반 구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전통주산업의 육성 및 활성화와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우리 술 연구소’ 설립‧운영의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영양군 내에 기 조성된 ‘음식디미방’ 문화관광자원화사업과의 연계 전략을 마련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제2장 전통주산업 및 관련 정책 현황
제3장 전통주 관련 R&D 현황
제4장 전통주산업의 진단과 발전 전략
제5장 우리 술 연구소 설립 및 운영방향
제6장 우리 술 연구소 설립 기본계획
제7장 우리 술 연구소 건설‧운영의 경제성 분석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전통주 고부가 상품개발 및 산업화기반 구축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 요약보고서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embargo.liftdate | 9999-12-31 | - |
dc.subject.keyword | 전통주 | - |
dc.subject.keyword | 고부가 상품개발 | - |
dc.relation.isPartOf | 전통주 고부가 상품개발 및 산업화기반 구축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 - |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수탁보고서 (C)
- 공개 및 라이선스
-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