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외식업 경영여건 및 성과요인 분석과 시사점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경필-
dc.contributor.other박미성-
dc.contributor.other한정훈-
dc.date.accessioned2019-02-08T16:40:07Z-
dc.date.available2019-02-08T16:40:07Z-
dc.date.issued2018-09-30-
dc.identifier.isbn979-11-6149-210-0-
dc.identifier.otherP250-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3122-
dc.description.abstract외식산업은 국내산 농산물을 이용하여 국내외 소비기반을 확충하고 농산업, 문화, 관광 등 연관산업과 연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식품 소비 패턴이 다양화되고 외식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외식산업 규모도 크게 성장하였는데, 외식업 사업체 수는 2016년 기준으로 68만여 개, 매출액 규모는 119조 원 수준에 이른다. 하지만, 외식산업 규모가 크게 성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외식 업체의 영세성과 경영 불안정성은 지속되고 있다. 외식산업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고 경쟁이 치열하여 사업체 창·폐업 비율이 다른 업종에 비해 높고 변동성도 큰 편이다. 이에 따라 외식업 동향 및 경영여건을 살펴보고 변화 전망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외식업의 업종별 동향 분석, 외식산업 성과에 대한 경제환경 변화의 영향 파악, 외국 사례와 비교·분석을 통한 외식업 변화를 전망함으로써 외식업 경영 안정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제2장 한국의 외식업 운영 동향 분석 제3장 거시적 경제환경 변화가 외식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제4장 한·일 외식업 동향 비교·분석 제5장 요약 및 시사점-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외식업 경영여건 및 성과요인 분석과 시사점-
dc.typeKREI 보고서-
dc.subject.keyword외식업 경영-
dc.relation.isPartOf외식업 경영여건 및 성과요인 분석과 시사점-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정책연구보고 (P)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