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송미령 | - |
dc.contributor.other | 성주인 | - |
dc.contributor.other | 심재헌 | - |
dc.contributor.other | 서형주 | - |
dc.date.accessioned | 2019-02-26T16:40:06Z | - |
dc.date.available | 2019-02-26T16:40:06Z | - |
dc.date.issued | 2018-12-30 | - |
dc.identifier.isbn | 979-11-6149-209-4 | - |
dc.identifier.other | D476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3242 | - |
dc.description.abstract | 지역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적절한 예산 집행을 위해서는 지역의 실태를 진단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다년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는 지역 진단의 근거 및 정책의 성과 파악을 위한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2009년부터 전국 시 군을 중심으로 지역의 발전 정도와 잠재 역량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지역발전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2018 지역발전지수는 기존 지역발전지수의 큰 틀을 유지하되 경미하게 개선 보완하였다. 정부의 공식 통계를 바탕으로 삶터(생활서비스), 일터(지역경쟁력), 쉼터(삶의 여유공간), 공동체의 터(지역활력)의 4개 부문별 지수와 부문별 지수의 종합으로서 지역발전지수를 분석하였다. 지역발전지수를 통해 지역의 여건과 특성을 분석하고 지난 지역발전지수와 비교하여 지역 발전의 변화 양상과 원인을 고찰하였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2018년 지역발전지수 제2장 지역발전지수의 변화 비교 분석 제3장 지역발전지수와 주민의 삶의 질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2018 지역발전지수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relation.isPartOf | 미래 국토 전망과 농촌의 계획적 정비 방안 연구(3의2차년도)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