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정호 | - |
dc.contributor.other | 강정일 | - |
dc.contributor.other | 박문호 | - |
dc.contributor.other | 이경해 | - |
dc.date.accessioned | 2019-09-27T16:40:11Z | - |
dc.date.available | 2019-09-27T16:40:11Z | - |
dc.date.issued | 2019-02-28 | - |
dc.identifier.other | C2019-15-9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4236 | - |
dc.description.abstract | 이 보고서는 (사)환경농업연구원이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으로부터 연구 의뢰를 받아 수행한 「밭작물 농기계기업의 임대사업 참여 실태와 개선 방안」(연구기간: 2018. 10. 17.~’19. 1. 21.)의 최종보고서이다. 우리나라의 농업기계화는 벼농사에서는 양적인 면에서 거의 성취되었다는 평가이지만, 밭작물에서는 기계화의 수준이 낮고 진전 속도도 느린 상황이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2007년부터 기초 지자체 단위의 농기계임대사업소를 통한 농업기계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농기계임대사업소가 농기계기업으로부터 농기계를 구입하여 농업인에게 임대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농기계기업의 임대사업 참여를 보면, 벼농사 부문에서는 상당히 실적을 나타내고 있으나, 밭작물은 임대사업 실적도 미흡하고 농기계기업의 상호 협력체계도 미흡한 실정이다. 밭작물 기계화에 필요한 농기계의 대부분은 중소형 농기계기업들에 의하여 개발·공급되고 있는데, 이들의 경영 개선이나 정책사업 참여가 여러 이유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정부의 정책 방향과 내용을 전달하는 시스템이 충분하지 못하고, 중소형 농기계기업으로서는 정책사업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개발 능력도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밭작물 농기계기업의 농기계임대사업 참여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밭작물 농기계임대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중소형 농기계기업들의 기업경영 상황, 농기계임대사업 참여 실태, 향후 발전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개선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제2장 밭작물 농업기계화의 동향과 관련 정책제3장 밭작물 농기계기업의 임대사업 참여 실태제4장 밭작물 농기계기업의 기술개발 및 정책 대응제5장 요약 및 정책 건의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농기계 임대사업 평가 및 컨설팅(2018) 밭작물 농기계 기업의 임대사업 참여 실태와 개선 방안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embargo.terms | 9999-12-31 | - |
dc.embargo.liftdate | 9999-12-31 | - |
dc.relation.isPartOf | 농기계임대사업 평가 및 컨설팅(2018)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