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명기 | - |
dc.contributor.other | 박준기 | - |
dc.contributor.other | 김연중 | - |
dc.contributor.other | 서대석 | - |
dc.contributor.other | 김상효 | - |
dc.contributor.other | 황윤재 | - |
dc.contributor.other | 국승용 | - |
dc.contributor.other | 정민국 | - |
dc.contributor.other | 김현중 | - |
dc.contributor.other | 성주인 | - |
dc.contributor.other | 김정섭 | - |
dc.contributor.other | 한이철 | - |
dc.contributor.other | 송미령 | - |
dc.contributor.other | 박지연 | - |
dc.contributor.other | 김종선 | - |
dc.contributor.other | 김영훈 | - |
dc.date.accessioned | 2020-01-08T16:40:07Z | - |
dc.date.available | 2020-01-08T16:40:07Z | - |
dc.date.issued | 2020-01-08 | - |
dc.identifier.other | PRN186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4509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업·농촌의 대내외적 여건과 주요 현안들을 고려하여 2020년 10대 농정이슈를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음. • 공익직불제의 세부제도 마련과 안정적 정착 • 스마트농업 확산을 위한 기술혁신 및 생태계 구축 • 국민 먹거리 보장성 및 포용성 제고를 위한 정책 강화 • 원예농산물 수급 안정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 추진 • 축산업의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강화 • 제4차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시행에 따른 농촌 생활서비스 혁신 • 새로운 인적자원 유입을 통한 농촌 활력 제고 • 아름다운 농촌 만들기를 위한 농촌공간계획제도 도입 • 주민·지자체 참여형 농촌 재생에너지 확산 • 농업부문 신남방·신북방 개발협력 강화 및 남북 간 협력 준비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2020년 농정 여건 2. 2020년 10대 농정 이슈 2-1. 공익직불제의 세부제도 마련과 안정적 정착 2-2. 스마트농업 확산을 위한 기술혁신 및 생태계 구축 2-3. 국민 먹거리 보장성 및 포용성 제고를 위한 정책 강화 2-4. 원예농산물 수급 안정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 추진 2-5. 축산업의 환경부하 저감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강화 2-6. 제4차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시행에 따른 농촌 생활서비스 혁신 2-7. 새로운 인적자원 유입을 통한 농촌 활력 제고 2-8. 아름다운 농촌 만들기를 위한 농촌공간계획제도 도입 2-9. 주민·지자체 참여형 농촌 재생에너지 확산 2-10. 농업부문 신남방·신북방 개발협력 강화 및 남북 간 협력 준비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2020년 10대 농정이슈 | - |
dc.type | KREI 이슈리포트 | - |
dc.subject.keyword | 농정 이슈 | - |
PRN186.pdf
결과 데이터 / 799.86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