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의식-
dc.contributor.other국승용-
dc.contributor.other김연중-
dc.contributor.other박준기-
dc.contributor.other이용선-
dc.contributor.other김미복-
dc.contributor.other김용렬-
dc.contributor.other김정섭-
dc.contributor.other박지연-
dc.contributor.other서대석-
dc.contributor.other성주인-
dc.contributor.other심재헌-
dc.contributor.other우병준-
dc.contributor.other이명기-
dc.contributor.other정은미-
dc.contributor.other정학균-
dc.contributor.other황윤재-
dc.contributor.other여인홍-
dc.contributor.other김현중-
dc.contributor.other박미성-
dc.contributor.other임영아-
dc.contributor.other정도채-
dc.contributor.other조승연-
dc.contributor.other허정회-
dc.contributor.other이정민-
dc.contributor.other우성휘-
dc.contributor.other한태녕-
dc.date.accessioned2020-04-16T16:40:06Z-
dc.date.available2020-04-16T16:40:06Z-
dc.date.issued2019-12-31-
dc.identifier.isbn979-11-6149-382-4-
dc.identifier.otherM163-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4806-
dc.description.abstract문재인 정부는 긴급하게 출범해야 했던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국민의 이해와 의견을 충분히 반영한 농정비전과 과제 설정에 한계가 있었으며, 출범 초기에는 긴급한 농정 현안 해결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쌀값 안정화 등에서 현안 대응 성과가 있었던 반면, 농산물 가격폭락, 공익직불제 도입에 대한 구체적 정책 설계 미흡 등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나아가 농정 틀의 근본 전환을 위한 청사진 제시가 지체되고 있으며, WTO 개도국 특혜 미주장 결정과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타결에 따른 향후 농산물 수입량 증가가 우려되고 있다. 한편, 과거 정부는 시장 개방에 대응해 전문화·규모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중심 농정을 추진해왔으나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 면에서 한계를 노출하였다. 따라서 경쟁 중심 성장에서 벗어나 사람과 환경 중심 농정으로 전환하고, 농업·농촌의 사회·환경적 가치를 창출하는 동시에 혁신을 통해 농업의 미래 성장 동력을 마련하며, 포용을 통해 농촌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 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최근 농정 여건과 새로운 국가발전전략(혁신적 포용 국가)에 부합하는 농정비전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세부적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다양한 농정 관련 연구 및 정책 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농정비전과 농정 방향을 설정하고, 원내·외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내용을 확정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연구 개요제2장 농정 여건 변화와 새로운 농정비전제3장 세부 정책과제-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
dc.typeKREI 보고서-
dc.relation.isPartOf새로운 농정비전과 정책과제-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기타연구보고 (M)
Files in This Item:
M163.pdf (1.09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