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상효 (isni=0000000027634004) | - |
dc.contributor.other | 홍연아 | - |
dc.contributor.other | 허성윤 | - |
dc.contributor.other | 지정훈 | - |
dc.date.accessioned | 2020-05-20T16:40:06Z | - |
dc.date.available | 2020-05-20T16:40:06Z | - |
dc.date.issued | 2020-05-20 | - |
dc.identifier.other | PRI074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4901 | - |
dc.description.abstract | 코로나19 감염을 우려하는 소비자들이 외출을 자제하면서 외식업의 매출은 감소하는 추세이나, 가정 내에서 가족과의 식사 횟수가 증가(47.7%)하면서 인근 소매업체의 식재료 매출액이 증가 • 소매점 POS자료 분석을 통해 소매유통채널의 식품 매출액 변동을 살펴본 결과, 코로나19가 확산되는 2월 3주차부터 매출액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코로나19의 영향이 관측되기 시작 • 소비자 이용 비중이 눈에 띄게 늘어난 소매유통채널은 개인대형(2.3%p), 체인대형(1.0%p), 편의점(0.6%p), 개인중형(0.6%p) 순으로 주택가 상권에 위치한 중대형 규모 마트들을 중심으로 매출액이 증가 코로나19 발생 이후 비대면 채널인 온라인 소매유통채널의 판매실적이 증가하는 등 구매형태의 변화 발생 • 소비자 조사 결과, 코로나19 발생 이후 전체 응답자의 56.6%가 온라인을 통한 식료품 구입 횟수가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고, 30대(63.4%), 40대(60.8%), 서울 거주자(62.1%) 중심으로 더 많이 증가 코로나19 발생 이후 외식 횟수는 감소세가 뚜렷한 반면, 배달/테이크아웃의 경우 증가하는 경향 • 코로나19 발생으로 전체 응답자의 81.0%는 외식하는 횟수가 감소하였다고 응답한 반면, 배달/테이크아웃 횟수에 대해서는 44.9%가 증가하였다고 응답 비타민 및 무기질(55.0%), 인삼류(31.7%)를 중심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가 증가하고, 농식품 국내 생산의 중요성 및 식량안보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및 중요성 인식도 제고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 • 전체 응답자의 84.2%가 농식품 국내 생산 및 자급의 중요성에 공감, 필수품인 식료품의 국내산 공급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국내 코로나19 확산 경과 2. POS 데이터로 본 식료품 소매점에서의 코로나19 영향 3. 소매유통채널별 영향 4. 외식 및 배달/테이크아웃 소비행태 변화 5. 기타 식품소비 및 식생활 행태 변화 6. 요약 및 시사점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식품 소비분야 영향분석 | - |
dc.type | KREI 이슈리포트 | - |
PRI074.pdf
결과 데이터 / 617.96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