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호의 해외농업‧농정 포커스에서는 유럽의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정책을 소개한다. 유럽의 기후변화 적응 정책은 정책 틀과, 프로그램, 그리고 적응수단으로 구성되는 체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체계를 갖는 기후변화 적응정책은 EU 공동농업정책의 농촌개발프로그램을 통해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가 추진되고 있다.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를 시도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이러한 해외 사례에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세계농식품산업 동향에서는 바이오경제와 지속가능한 농식품시스템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다시 말해, 바이오 경제가 신산업과 혁신기회 및 일자리 창출, 천연자원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 기후변화 적응 주류화 추진 등을 통해 농식품시스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점이 무엇인지 분석한다. 국가별 농업자료로는 볼리비아와 세네갈의 농업 현황을 소개한다. 먼저 볼리비아는 농업 및 농촌개발 목표를 농업생산의 주권화에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세부목표로는 가족농 중심의 농업, 효율적 생산시스템 구축, 농지 소유권 확립, 최적의 관개시스템 개발 등이 제시된다. 하지만 영농현장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기후 변화와 관개시설의 미비 등으로 인한 농업용수의 부족이다. 이에 따라 볼리비아는 농업의 가장 최우선 과제를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과 농업생산성을 증대하는 것에 두고 있다. 세네갈의 경우도, 자국의 국가도약계획에서 농업부문은 관개 시설 확장, 식수 및 관개수로를 위한 담수화 등의 인프라 사업에 집중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와의 개발협력은 이러한 부분에 대한 지속가능한 지원을 통해 현장애로를 해결하는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국제기구‧연구 동향에서는 먼저 OECD가 코로나 바이러스 인해 농식품산업에 나타난 이슈와 대책이 무엇인지 분석한 내용을 소개한다. 다음으로 IFPRI가 COVID-19로 인해 식량위기가 도래할 것인지 분석한 것과, FAO가 COVID-19 시대에 식품안전은 어떠한 내용을 담아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소개한다.
목차
1.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 : 기후변화 적응 정책유럽의 농업부문 기후변화 적응 정책2.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 바이오경제바이오경제와 지속가능한 농식품시스템3. 국가별 농업자료 : 볼리비아, 세네갈볼리비아 농업 현황과 개발협력 추진 방향 세네갈 농업 현황과 개발협력 추진 방향 4. 국제기구·연구 동향세계 농업관련 주요 연구 동향 5. 국제 농업 정보 6. 세계 농업 브리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