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서홍석 | - |
dc.contributor.other | 김충현 | - |
dc.contributor.other | 김준호 | - |
dc.date.accessioned | 2020-09-10T16:40:08Z | - |
dc.date.available | 2020-09-10T16:40:08Z | - |
dc.date.issued | 2020-09-11 | - |
dc.identifier.other | PRN192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5263 | - |
dc.description.abstract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비 위축, 무역 제한, 국가 간 이동 제약 등으로 2020년 세계 경제성장률은 전년 대비 7.7%p 낮은 –5.1%로 전망(Global Insight)되는 등 경제환경이 변화 • 국내 경기는 점차 개선되겠으나 그 속도는 더뎌 2020년 한국 경제성장률은 전년 대비 3.3%p 낮은 –1.3%로 전망되며 코로나19의 향후 전개 양상에 따라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 재배업과 축잠업이 성장, 2020년 농업생산액은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전년 대비 3.1% 증가한 52조 770억 원으로 전망 • 경지면적은 전년 대비 0.9% 줄어든 156.7만 ha • 재배면적은 엽채류 및 근채류를 제외한 여타 부류들의 감소로 전년 대비 1.0% 감소 • 가축 사육 마릿수는 전년 대비 0.4% 감소한 192.6백만 마리 • 5대 채소 소비량은 증가하나, 7대 곡물, 3대 육류, 과일 소비량은 감소 •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에 따른 농산물 수입량 감소로 전체 농축산물 자급률 전년 대비 0.2%p 상승한 71.0% • 수출액 증가보다 수입액 증가 규모가 더 커서 농식품 무역수지 적자는 전년 대비 1.5% 늘어난 213.6억 달러 이전소득과 농업소득이 증가하여 2020년 농가소득은 전년 대비 4.6% 증가한 4,309만 원으로 전망 • 농업경영비 증가와 기상 여건 악화에 따른 생산량 감소에도 가정 내 육류 수요 증가와 농산물 가격 급등으로 농업소득은 전년 대비 5.1% 증가 전망 • 농업구입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3.5% 상승하지만 코로나19 확산과 기상재해 영향으로 인한 공급 감소로 농가판매가격지수가 4.1% 상승하여 농업교역조건지수는 전년 대비 0.6% 개선 2020년 농가호수는 전년 대비 0.6% 감소한 100.1만 호, 농가인구는 1.0% 감소한 222.2만 명으로 전망 •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율은 2019년 46.6%에서 2025년 52.2%, 2030년 57.2%에 이르러 농업노동력의 고령화 현상은 가속될 전망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대외 여건과 거시경제 전망 2. 한국 농업 동향과 전망 3.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4. 농가인구 동향과 전망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환경 변화를 반영한 2020년 농업부문 수정 전망 | - |
dc.type | KREI 이슈리포트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